![]() |
천마총 천마문 장니. <문화재청 제공> |
![]() |
1973년 천마도 출토 모습. <문화재청 제공> |
문화재청은 올해 발굴 50년을 맞는 경주 천마총의 의미를 되새기며 가치를 널리 알리고, 미래 백 년을 다짐하는 '1973, 천마를 깨우다' 비전 선포식을 개최한다.
선포식은 4일 오후 1시 30분 경주 대릉원 내 특별무대에서 '다시 보는 천마총 50, 신라-웨이브 어게인(Silla-Wave Again)'을 주제로 열린다.
천마총은 왕릉급 무덤으로 5세기 후반 혹은 6세기 초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1973년 4~12월 8개월간의 발굴조사에서 자작나무 껍질에 그린 천마도(天馬圖) 장니(말다래), 신라 금관 등 국보와 보물 10건을 포함한 유물 1만1천500여 점이 나왔다.
특히 우리 손으로 신라 고분을 제대로 발굴한 첫 사례로 신라 문화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널리 알려 우리나라가 문화유산 발굴과 보존에 눈뜬 계기로 평가받고 있다.
천마총 발굴을 계기로 지난 50년간 이뤄진 한국 고고학의 성장, 발굴 및 보존 처리 방법의 고도화, 유적 복원·정비 역량 강화 등 성과를 공유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앞으로의 100년은 신라 문화유산이 'K-헤리티지(heritage·유산)'의 중심에서 세계인이 찾고 주목하는 더 큰 신라류(Silla-Wave)의 파동을 일으키겠다는 힘찬 포부를 담았다"고 말했다.
행사에는 1973년 당시 천마총 발굴 주역 등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경상북도·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등 5개 기관장과 문화재위원장 등이 참석한다.
하늘을 날아가는 듯한 '천마'의 역동적인 모습을 춤으로 표현한 홍보 영상을 비전 선포식에서 처음 공개한다. 세계적 댄스 크루인 저스트절크가 창작 ·출연하는 영상은 '천마'의 역동적인 모습 등을 'K-댄스'로 표현했다.
천마총의 이미지를 브랜드화하고 우리 문화유산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천마, 다시 만나다' 특별전으로 천마도 실물을 약 9년 만에 공개할 예정이다.
천마도가 그려진 말다래는 2장이 상하로 겹친 상태로 출토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대중에 잘 알려진 아래쪽 말다래(4일∼6월 11일)와 위쪽 말다래(6월 12일∼7월 16일)를 직접 볼 수 있다.
4일부터 대릉원의 밤하늘을 화려하게 수놓을 '경주 대릉원 문화유산 미디어아트'도 한 달 간(4일~6월 4일) 열린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우리의 중요한 문화유적이 대한민국의 역사·정체성을 확립하고 'K-관광'과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