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다 23일 새벽 대구 달서구 성당동 한 아파트 지상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를 진압하고 있는 소방대원. <대구소방안전본부 제공> |
최근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자 대구소방이 대응 능력 확보에 나섰다.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해 전문 대응장비를 추가로 확보하고 전문교육 등을 실시한다.
4일 대구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19일 달성군 유가읍 도로가에 주차된 전기차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나 1시간10분 만에 진화됐다. 또한 지난달 23일 새벽에는 달서구 성당동 한 아파트 지상주차장에서 전기차에 불이나 전소됐고, 인근 차량 2대도 일부 태우는 등 2천700만원 상당 피해를 내고 2시간여 만에 꺼졌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대구지역 내 전기차 등록대수는 올해 3월 기준 전국에서 4번째(전국 42만2천383대·대구 2만5천535대)로 많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20~2022년 전기차 관련 화재는 총 5건 그쳤지만 올해는 3~4월 동안 3건의 화재가 줄이었다.
이에 대구소방은 관련 장비와 교육을 통해 대응 능력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대구소방은 전기차 보급 및 이에 따른 화재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전기차 화재 전문 대응 장비인 질식소화덮개와 상방방사 장치 등 2개 장비를 총 9점 보강할 예정이다. 현재는 질식소화덮개 11점, 소화수조 4점, 상방방사장치 4점 등을 현장에 배치해 운용하고 있다.
이들 장비가 현장에서 효과를 보이면서 추가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질식소화덮개는 차량을 특수 제작된 천으로 덮어 산소를 차단, 화재를 진압하는 장비다. 소화수조는 화재 차량 주변에 물막이판을 설치해 물을 채워 화재를 진압하도록 한다. 상방방사 창치는 차량 하부를 향해 물을 뿌릴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또한 대구소방은 출동대원들의 전기차 화재 대응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지난 2월 영남이공대학교와 협약을 체결해 전기차 화재에 대한 전문교육도 받고 있다.
박정원 대구소방안전본부 현장대응과장은 "전기차 화재는 내연기관 자동차 화재와 달리 열폭주와 감전 등 진압하는데 위험성이 크다"며 "지속적인 장비 보강과 훈련을 통해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