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리위...김재원 당원권 정지 1년, 태영호 3개월

  • 임호
  • |
  • 입력 2023-05-10 22:48  |  수정 2023-05-11 07:03  |  발행일 2023-05-10
태 의원, 이날 최고위원직 사퇴 당원권 정지 3개월

김 최고위원, 직 유지 대신 당원권 정지 1년
국민의힘 윤리위...김재원 당원권 정지 1년, 태영호 3개월
국민의힘 김재원 최고위원이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중앙윤리위원회에서 소명을 마친 뒤 당사를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황정근 중앙윤리위원회는 10일 중앙당사에서 김재원 최고위원에 당원권 정지 1년, 태영호 최고위원은 당원권 정지 3개월 징계를 결정했다. 애초 두 사람 모두 당원권 정지 1년이 예상됐으나, 태 의원은 이날 최고위원직을 사퇴, 징계 수위가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김 최고위원은 최고위원 사퇴를 하지 않아, 예고됐던 데로 당원권 정지 1년의 중징계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

윤리위가 밝힌 이들의 징계 사유는 각각 세 가지다. 김 최고위원은 '5.18 헌법 전문 수록 반대', '전광훈 목사 우파 진영 천하 통일', '제주 4·3 격 낮은 기념일' 등의 발언을 문제 삼았다. 태 의원은 '제주 4.3은 북한 김일성 지시'라는 주장과 더불어민주당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을 사이비 종교단체 JMS에 빗댄 "Junk Money Sex 민주당" 발언, '공천 개입 녹취록' 등을 이유로 들었다.

이날 윤리위 부위원장인 전주혜 의원은 윤리위 회의 참석차 당사에 들어서며 "징계 개시된 사유들을 조사하고 소명을 들어본 결과 징계 사유가 되는지에 대해 다시 한번 하나하나 되짚어봐야 할 것 같다"고 심의 과정을 설명했다. 직전까지 두 최고위원의 징계 수위는 당원권 정지 1년 이상이 예상됐다. 경징계로 결론 날 경우 각종 설화를 쉽게 본다는 비판이 쏟아질 가능성이 높았다. 또 이준석 전 대표가 '양두구육' 발언 등으로 1년 이상 중징계를 받은 전력과의 형평성 논란 우려도 있었다.

국민의힘 윤리위...김재원 당원권 정지 1년, 태영호 3개월
국민의힘 태영호 최고위원이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중앙윤리위원회에서 소명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태 의원이 이날 국민의힘 최고위원직을 사퇴한 만큼 징계 수위를 한 단계 낮추고 대신, 김 최고위원은 직을 유지함에 따라 예상 수준의 중징계 결정을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국민의힘은 이들에 대한 징계 절차를 마무리함에 따라 모든 화력을 대야 투쟁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민주당은 과반이 넘는 의석을 무기로 노란봉투법, 간호사법 등 윤석열 정부의 각종 현안을 옥죄고 있다. 문제는 민주당이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시작으로 송영길 전 대표의 돈 봉투 의혹, 김남국 의원 60억 원대 가상화폐 의혹 등 각종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국민의힘은 내부 문제를 해결한 만큼 민주당이 내로남불의 전형이란 여론전을 통해 야당 견제론에 불씨를 집힐 것으로 보인다.

김기현 대표도 이번 징계 결정과 이후 조치가 리더십을 평가하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4명의 선출직 최고위원 중 두 명을 징계하는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당을 안정시킨다면 강력한 리더십을 갖게 된다. 하지만 징계를 받은 김 최고위원이나 태 의원이 재심을 청구하거나 소송전에 나선다면 김 대표의 입지도 심각하게 흔들릴 수 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