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네이버와 다음 등 대형 포털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당 지도부가 앞장서 양대 포털을 비난하는 것은 물론, 신문법 개정안도 내놨다.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14일 대형 포털의 '키워드 추천' 서비스 도입을 작심 비판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SNS에 "네이버, 다음 두 공룡 포털들이 '트렌드 토픽', '투데이 버블'이란 서비스를 시작했다"며 "3년 전 폐지된 '실검'(실시간 검색어)과는 다른 서비스인 양 포장했지만, 사실상 실검을 부활시키는 꼼수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고마워요 문재인', '힘내세요 조국' 시즌2 냄새가 스멀스멀 올라온다"며 "네이버와 다음에서 '고마워요 이재명', '힘내세요 김남국'을 봐야 하는 상황이 올지도 모르겠다"고 했다.
박 의장은 "3년 전 실검을 폐지할 때 했던 말들을 잊었나. 실검은 인격권 침해, 가짜뉴스 유포, 기사 어뷰징 등 정치적·상업적으로 악용되면서 숱한 폐단을 낳았다"며 "변형된 실검 서비스는 여론 선동의 숙주 역할을 할 위험성을 안고 있다"고 경고했다.
국민의힘 윤두현 의원(경산)은 지난 12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포털뉴스의 기사 제공·매개로 발생한 손익현황 자료 제출을 요청할 수 있는 '신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초기 포털뉴스는 기존 언론이 제공한 뉴스를 전달하는 역할에 불과했지만, 현재 포털뉴스는 막강한 유통력을 앞세워 기존 언론이 생산한 기사들을 선택·배열이란 편집기능을 통해 뉴스 가치에 변화를 주고 있다. 윤 의원은 "포털이 사회적 의제를 설정하는 등 사실상 언론 기능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2022 언론수용자 조사'에 따르면, 포털뉴스 이용자의 89.7%가 네이버, 다음(25.3%), 구글(14.4%) 순이다. 특히 20~30대가 꼽은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 1위'는 네이버였다.
윤 의원이 대표발의한 신문법 개정안은 포털뉴스가 공정하고 투명한 기준에 따라 뉴스 제공 등 국민 알 권리를 보장하고 공익을 대변해야 한다는 사회적 책무를 명시했다.
윤 의원은 "포털뉴스는 이미 언론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사회적 책임과 의무는 외면해 왔다"며 "이번 개정안으로 포털뉴스로 인해 황폐화한 언론시장을 바로잡고, 뉴스콘텐츠가 정당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