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집주인들이 주요 은행과 주택금융공사에서 전세보증금 반환 목적으로 새로 받은 대출 규모가 4조6천억원을 넘어섰다.
전세 시세가 기존 전세보증금보다 낮은 '역전세' 문제가 나타나면서, 전세 시세 하락분을 감당하지 못해 빚을 낸 집주인이 늘어났다는 의미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4대 은행과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신규 취급한 전세보증금 반환 대출은 4조6천934억원으로 집계됐다.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이 올해 1∼5월 신규로 취급한 전세보증금 반환대출은 약 2조6천885억원 규모로, 지난해 같은 기간 2조6천966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지난 1월 말 출시된 특례보금자리론으로 수요가 일부 분산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5월 말 기준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의 특례보금자리론 유효 신청 금액이 2조49억원이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올 들어 5월까지 지난해 전체 공급액(8천2억원)의 약 2.5배 넘긴 금액이 신청된 셈이다.
주금공 관계자는 "역전세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임차인을 구하지 못한 집주인이 보전용도 특례보금자리론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역전세 문제는 내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전세보증금 반환 대출에 한시적으로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박주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