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고속철도 특별법의 최종안이 완성되면서 달빛철도 건설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특별법을 대표 발의할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달빛고속철도 노선이 지나는 영·호남 지역구 의원들과의 공동발의를 통해 특별법의 당위성을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동서를 가로지르는 달빛고속철도는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유발할 것이다. 남부권광역경제권 구축도 그중 하나다. 2016년 1월 대구에서 열린 영·호남 8개 시·도지사 협력회의에선 남부권경제공동체 구성에 협력한다는 공동성명이 채택됐다. 하지만 이후 남부권광역경제권 논의는 침잠했다. 영·호남 간의 지리적 이격, 지지체장과 정치권의 소극적 대응으로 추동력을 확보하지 못한 까닭이다.
이제 달빛고속철도 건설이 가시권에 들어온 만큼 남부권광역경제권 구상에 다시 불을 지펴야 할 때다. 수도권 일극체제에 맞서려면 규모의 경제가 필수다. 광역경제권 구축은 이미 글로벌 트렌드다. 특히 일본 간사이 광역경제권을 벤치마킹할 만하다. 오사카·교토와 시가·나라·고베 등 2부 7현이 2010년 행정구역을 뛰어넘는 간사이 광역경제연합을 구축하면서 침체됐던 경제가 부활하고 GRDP(지역내총생산)가 증가했다. 간사이 광역경제연합 인구는 2천만명이다.
영·호남지역에는 전자·조선·완성차·자동차부품·기계·석유화학·에너지 등 우리나라 경제를 떠받치는 주요산업이 모두 포진해 있다. 남부권광역경제권의 구심력과 원심력이 제대로 작동할 경우 국내 제조업의 지형을 바꿀 만큼 파괴력이 클 것이다. 인적·물적 교류 확대와 동서화합 효과는 덤이다. 달빛철도가 광역경제권 구축의 촉매가 되길 바란다.
동서를 가로지르는 달빛고속철도는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유발할 것이다. 남부권광역경제권 구축도 그중 하나다. 2016년 1월 대구에서 열린 영·호남 8개 시·도지사 협력회의에선 남부권경제공동체 구성에 협력한다는 공동성명이 채택됐다. 하지만 이후 남부권광역경제권 논의는 침잠했다. 영·호남 간의 지리적 이격, 지지체장과 정치권의 소극적 대응으로 추동력을 확보하지 못한 까닭이다.
이제 달빛고속철도 건설이 가시권에 들어온 만큼 남부권광역경제권 구상에 다시 불을 지펴야 할 때다. 수도권 일극체제에 맞서려면 규모의 경제가 필수다. 광역경제권 구축은 이미 글로벌 트렌드다. 특히 일본 간사이 광역경제권을 벤치마킹할 만하다. 오사카·교토와 시가·나라·고베 등 2부 7현이 2010년 행정구역을 뛰어넘는 간사이 광역경제연합을 구축하면서 침체됐던 경제가 부활하고 GRDP(지역내총생산)가 증가했다. 간사이 광역경제연합 인구는 2천만명이다.
영·호남지역에는 전자·조선·완성차·자동차부품·기계·석유화학·에너지 등 우리나라 경제를 떠받치는 주요산업이 모두 포진해 있다. 남부권광역경제권의 구심력과 원심력이 제대로 작동할 경우 국내 제조업의 지형을 바꿀 만큼 파괴력이 클 것이다. 인적·물적 교류 확대와 동서화합 효과는 덤이다. 달빛철도가 광역경제권 구축의 촉매가 되길 바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