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30여 년간 펼쳐온 지역 균형발전정책은 명백한 실패였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집중이 되레 심화된 것이 이를 방증한다. 국토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전체 국민의 절반 이상이 모여 사는 건 정상이 아니다. 이로 인한 지방의 인구 감소와 경제난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농촌마다 빈집이 즐비하고 아기 울음소리가 끊긴 건 지방소멸이 이미 시작됐음을 알리는 경고 신호다. 대구경북 역시 지방소멸 위기의 한가운데에 있다. 하지만 희망은 있다. 대구경북은 윤석열 정부 국정 과제인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선도해 나갈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경북은 수도권 집중의 최대 피해지역이다. 그만큼 지방소멸 위험에도 가깝다. 지난해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K-지방소멸지수'만 봐도 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전국에서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9개 시·군 중 경북은 4곳이나 포함됐다. 여기에다 소멸 우려지역도 5곳이나 된다. 또 대구 서·남구까지 인구감소 지역으로 지정됐다. 지방소멸이 경북의 농촌 소도시에 국한된 게 아니라 대구 도심에서도 진행 중인 것이다.
지금까지 중앙정부가 지방발전 정책을 좌지우지하면서 한계와 부작용이 컸다. 그 같은 전철을 다시 밟아선 안 된다. 지방소멸을 비롯한 현안 해결에 지방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특히 지방분권 운동의 진원지인 대구경북의 역할이 중요하다. 혁신과 통합의 정신으로 지역균형발전을 주도해야 한다. 영남일보의 '대한민국 대전환, 지방시대' 기획 시리즈는 이 같은 시대적 소명에 부응한다. 새로운 지방시대는 그냥 오지 않는다. 정치권을 비롯한 지역 각계와 지역민의 관심과 동참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중앙정부가 지방발전 정책을 좌지우지하면서 한계와 부작용이 컸다. 그 같은 전철을 다시 밟아선 안 된다. 지방소멸을 비롯한 현안 해결에 지방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특히 지방분권 운동의 진원지인 대구경북의 역할이 중요하다. 혁신과 통합의 정신으로 지역균형발전을 주도해야 한다. 영남일보의 '대한민국 대전환, 지방시대' 기획 시리즈는 이 같은 시대적 소명에 부응한다. 새로운 지방시대는 그냥 오지 않는다. 정치권을 비롯한 지역 각계와 지역민의 관심과 동참이 필요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