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 '부실 금고' 거짓 명단, '뱅크런' 혼란 초래 안 돼

  • 논설실
  • |
  • 입력 2023-07-07  |  수정 2023-07-07 06:59  |  발행일 2023-07-07 제23면

정부가 부실 새마을금고 지점에 대한 통폐합을 발표한 이후 부정확한 '부실 금고 명단'이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부실 금고가 대구에 집중돼 있다는 뜬금없는 소문과 함께 '대구 부실 지점 12곳 리스트'가 온라인상에 나돌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대구지역본부 측은 "아직 정부나 중앙회로부터 특별검사·점검 대상 명단을 받은 게 없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인터넷에 올라온 명단은 일부 호사가들이 분석한 자료일 뿐이다. 잘못된 정보로 문제없는 금고까지 피해를 보게 해선 안 된다. 거짓 정보가 더 확산하기 전에 감독 및 수사기관의 감시·감독 조치가 있어야겠다.

불안감을 느낀 고객들이 예·적금을 해지하고 있다고 한다. 일부 수도권 금고에서는 ATM과 창구의 현금이 바닥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뱅크런(Bank-run·대량예금인출 사태)' 조짐이다. 대구에서도 6%대의 높은 이자율에도 불구하고 고객들의 해지 움직임이 속속 확인된다. 인수합병을 통해 금고를 우량화하는 방향으로 고객 피해가 없도록 조치하고 있으니 걱정할 일이 아닌데 거짓 정보가 불안감을 잔뜩 부추긴 탓이다.

시장 불안은 당분간 이어질 것 같다. 평균 연체율(6.18%)이 상호금융(약 2.4%)의 3배, 은행권(0.37%)의 17배에 가깝다. 개별 금고의 실태를 수시 체크하고 일탈을 막아왔더라면 지금과 같은 위기는 없었을 터이다. 뼈를 깎는 구조조정과 대출 부실을 키운 시스템을 고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불안 심리 확산을 사전 차단, 뱅크런 사태와 금융권 위기로의 전이를 막는 것이 가장 다급하다. 새마을금고도 금융기관인데, 전문성이 떨어지는 행안부 감독하에 두는 건 온당치 않다. 금융감독시스템에 통합하는 게 적절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