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난리 국토, 공직 기강 다잡고 人災 최소화해야

  • 논설실
  • |
  • 입력 2023-07-19  |  수정 2023-07-19 07:07  |  발행일 2023-07-19 제27면

물폭탄 세례가 국토를 강타하고 있다. 산사태, 제방 붕괴, 월수(越水)와 농경지 침수가 속출한다. 국가 재난상황임이 분명하다. 기상이변은 인류가 처한 현실이다. 문제는 자연의 도발이 상수가 됐다면, 인간이 대비하고, 복구하고, 다음을 위해 시스템을 고치는 것은 더욱 중요해졌다. 산사태만 해도 경북은 전국에서 가장 취약한 곳으로 드러나고 있다. 산림청 조사에서 5천 곳에 육박하는 경북지역 취약지가 보고됐다. 반면 이번 피해지역은 사전 조사된 취약 지역에서 빠져 있다. 뭔가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향후 새로운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책임 추궁을 두려워해 이건 내 업무가 아니라는 식의 변명도 공직사회에 만연해 보인다. 충북 오송의 지하도 침수 참사는 지난해 포항 아파트 침수와 꼭 닮았다. 이번에는 책임 돌리기까지 가세해 국민적 허탈감을 불러일으킨다. 홍수통제소는 '우리는 경보 통보했다'고 하고, 다른 쪽은 '제대로 보고 받지 못했다'고 한다. 하천관리도 누가 하는지 불분명하다. 심지어 청주시는 지하도로 침수가 시작된 시각, 사고장소로 버스 운행을 오히려 유도했다는 정황마저 나오고 있다.

대통령실과 국무총리실이 전반적 원인규명과 책임 추궁을 하겠다고 밝혔다. 당연한 일이다. 다시 한번 공직 기강을 다잡는 계기가 돼야 한다. 강도 높은 비가 앞으로 더 예고돼 있다. 일선 시·군, 소방, 경찰, 산림, 군(軍)의 공직자들은 긴 장마의 피로도가 있겠지만 공복(公僕)의 자세를 가다듬어야 한다. 내가 책임지고, 내가 해결한다는 결기가 요구된다. 재난상황에는 시민들의 자발적 협조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공조직이 가장 빨리 그리고 지혜롭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