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에서 벌어진 20대 새내기 교사의 극단적 선택은 우리 교육계가 얼마나 병들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무엇보다 교권이 무너진 교육현장에서 초임 교사로서 감내하기 힘든 심적 고통을 당했다는 사실이 안타깝다. 그 교사는 지난해부터 10차례나 담당 학급 학생 간의 다툼 등과 관련된 상담을 학교 측에 요청했다. 또 일기장에 "숨이 막혔다"는 등의 심경을 남긴 것을 미뤄볼 때 학부모 민원에 시달렸을 개연성이 크다. 철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
새내기 교사의 황망한 죽음에 전국의 교사들이 들고 일어선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지난 주말 서울에서 열린 대규모 교사 집회는 우리 사회에 "이게 교육이냐"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있다. 이번 교사 집회에서 눈여겨볼 점은 과거와 달리 특정 교원노조나 단체가 주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전국 각지에서 3만명이나 자발적으로 참가한 것은 그동안 쌓여 온 교사들의 울분이 얼마나 컸는지를 짐작게 한다. 이들이 털어놓은 교권 침해 사례는 충격적이지만 새로운 것은 아니다. 교사들은 오래전부터 학생에게 당하는 폭언·폭력, 성희롱과 학부모의 악성 민원을 호소해왔지만 교육청, 정부, 정치권 모두 나 몰라라 해왔던 게 사실이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제대로 된 교권보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교사의 정당한 훈육과 지시에는 그 어떤 법적 책임도 묻지 않는 원칙부터 세우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학부모 민원창구를 단일화하고, 학교 차원의 민원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학부모가 교사를 골탕 먹이는 수단으로 악용하는 아동학대처벌법도 개정할 필요가 있다. 교사가 수업시간에 떠든 아이를 혼냈다고 아동학대로 몰리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겠다.
새내기 교사의 황망한 죽음에 전국의 교사들이 들고 일어선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지난 주말 서울에서 열린 대규모 교사 집회는 우리 사회에 "이게 교육이냐"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있다. 이번 교사 집회에서 눈여겨볼 점은 과거와 달리 특정 교원노조나 단체가 주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전국 각지에서 3만명이나 자발적으로 참가한 것은 그동안 쌓여 온 교사들의 울분이 얼마나 컸는지를 짐작게 한다. 이들이 털어놓은 교권 침해 사례는 충격적이지만 새로운 것은 아니다. 교사들은 오래전부터 학생에게 당하는 폭언·폭력, 성희롱과 학부모의 악성 민원을 호소해왔지만 교육청, 정부, 정치권 모두 나 몰라라 해왔던 게 사실이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제대로 된 교권보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교사의 정당한 훈육과 지시에는 그 어떤 법적 책임도 묻지 않는 원칙부터 세우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학부모 민원창구를 단일화하고, 학교 차원의 민원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학부모가 교사를 골탕 먹이는 수단으로 악용하는 아동학대처벌법도 개정할 필요가 있다. 교사가 수업시간에 떠든 아이를 혼냈다고 아동학대로 몰리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겠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