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 |
지난달 발생한 폭우로 국가유산 78개소가 피해를 입은 가운데, 복구를 위한 문화재긴급보수 예산도 턱없이 부족해 장기간 방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제6호 태풍 카눈이 9일부터 부산, 울산, 경남 등 경상해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피해를 입은 국가유산의 빠른 조치가 시급한 상황이다.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이 문화재청으로부터 '2023년 장마철 국가유산 피해·조치현황 자료'를 제출 받았다. 이 자료에 따르면 이번 폭우로 69곳의 국가유산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9곳의 주변지가 파손됐다. 피해 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도가 20건으로 가장 많고, 전남도 13건, 충남도 11건, 경남도·충북도가 각각 7건, 전북도 6건 등의 순이었다. 국가유산 지정등급별 피해 현황을 보면 국보가 2건, 보물 4건, 사적 26건, 천기 13건, 명승 10건, 국민 13건, 등록 10건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국보로 지정된 '금산사 미륵전'은 막새기와가 떨어져 나갔고,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한계산성'의 경우는 산성 천제단 석축의 일부분이 무너지는 등 심각하게 훼손됐다. 더 큰 문제는 훼손된 국가유산을 신속하게 복구해야할 사업비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문화재긴급보수비 예산은 총 37억 1천만 원 중 26억 1천400만 원이 이미 사용됐다. 남은 예산은 10억 9천600만 원에 불과하다. 문화재청은 10억 원으로 현재 발생한 풍수해 피해를 긴급보수비로 모두 복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고 답변했다.
김승수 의원은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의 빈도와 강도 높아지고, 피해도 매년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며 "풍수해·산불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유산의 위치, 특성 등을 종합고려해 재난안전관리 사업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한편, 피해 발생 시 신속하게 문화재를 복구해 2차, 3차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문화재긴급보수비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