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 복원 사업에 속도

  • 피재윤
  • |
  • 입력 2023-08-16  |  수정 2023-08-15 15:03  |  발행일 2023-08-16 제11면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 복원 사업에 속도
안동시가 독립운동의 성지인 임청각 복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복원 사업이 한창 진행 중인 경북 안동 임청각.<안동시 제공>

경북 안동시가 독립운동의 성지인 임청각 복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제가 놓은 철길로 반 토막 난 임청각은 2025년까지 예산 280억 원을 들여 일제강점기(1941년) 중앙선 철로가 놓이기 이전의 옛 모습으로 복원되고 있다.

임청각은 고성 이씨 종택이다. 조선시대 왕이 아닌 사람이 지을 수 있는 최대 규모인 99칸으로, 현존하는 살림집 중 가장 크고 오래됐다. 대한민국 보물 제182호로도 지정됐다. 이 고택은 독립유공자 11명을 배출하며 일제강점기 항일투쟁의 밑거름이 되기도 했다.

이곳에서 한말의 대표적 독립운동가인 석주 이상룡이 출생했다. 1910년 일제가 한일합병을 감행하자 1911년 당시 54세에 50여 명의 식솔과 함께 압록강을 건너 서간도로 망명했다.

석주 이상룡이 1911년 정월에 압록강을 건너며 읊은 "차라리 내 목이 잘릴지언정 무릎 꿇어 종이 되지 않으리"란 말은 아직도 널리 회자되고 있다.

무장독립투쟁 자금이 부족하자 아들을 다시 안동으로 보내 임청각을 2천 원에 일본인 오카마 후사지로에게 팔고 군자금으로 보탰다. 얼어붙은 만주 땅에서 백만 동포의 삶의 터전을 마련하며 항일 독립운동단체 경학사를 만들어 독립정신을 일깨우고,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해 독립군을 양성했다.

1925년 석주 이상룡은 초대 국무령을 맡았으나 다시 간도로 돌아와 무장 항일투쟁에 심혈을 기울였다. 끝내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1932년 5월 길림성 서란현에서 74세에 순국했다.

석주 일가는 이상룡을 비롯해 부인 김우락·동생 이봉희·아들 이준형·조카 이광민·손자 이병화·손자며느리 허은 등 3대에 걸쳐 모두 11명의 독립운동 서훈자를 배출했다.

안동시는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인 임청각을 복원하기 위해 지난 2017년 고성이씨 후손 및 관계 기관의 전문가 등 16명 등과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2018년 임청각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했다. 2021년 12월 옛 중앙선 철로가 철거되면서 사업추진이 급물살을 타며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복원사업을 통해 앞으로 임청각 좌·우측 재현 가옥 2동을 복원하고 도로 및 주차장을 정비한다. 또 지하 2층, 지상 1층 규모의 공유관도 건립한다. 공유관은 독립운동의 역사문화 가치를 재정립하고 문화·관광·교육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독립운동의 역사와 민족의 정체성이 그대로 남아 있는 임청각은 대한민국의 훌륭한 역사 교육장"이라며 "독립운동의 성지인 임청각을 전 국민이 공유하는 문화거점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복원 사업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한편, 석주 이상룡 선생의 독립운동 이야기는 '서간도 바람소리'라는 실경 역사극으로 9월 9일까지 매주 금·토요일 오후 7시 30분에 안동 태사묘에서 상연되고 있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기자 이미지

피재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