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시작한다. 계획대로라면 약 135만t의 오염수를 30년 동안 태평양에 흘려보내게 된다. 우리 정부는 오염수 방류를 찬성 또는 지지하는 것은 아니라는 다소 애매한 입장에 서 있다. 정부가 내린 판단의 대상은 '일본 측의 방류 계획'이다. 일본 측 방류계획이 '계획대로' 이행하는지를 지켜보겠다는 의도라면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한반도 인근 해수와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 여부에 대한 철저한 검사와 관리는 우리의 일이다. 일본도 방류 과정의 모든 정보를 투명하고 신속히 공개하는 게 마땅하다. 사고 원전에서 오염수를 정화해 배출하는 건 처음 가보는 길이다. 향후 일어날 사태의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일본 정부에 있음을 다시 한번 밝힌다.
동해안 어민들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오염수 문제가 주목받으면 받을수록 어업인에게는 막대한 손해만 남는다. 정치적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이해 당사자임에도 목소리 내기조차 조심스럽다. 양이 적고 많고의 문제를 떠나 방류 이후 동해안 수산물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는 순간 모든 게 끝이라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방류가 조금이라도 계획과 다르게 진행된다면 정부는 지체 없이 일본 측에 방류 중단을 요청해야 한다. 꼼꼼한 감시가 절대 요소다. 일본 측도 30년간 계획대로 오작동 없이 가동되고 있는지 모든 과정을 낱낱이 공개해 주변국의 우려를 불식해야 한다. 어제만 해도 일본 언론은 "탱크에 담긴 처리수의 방사성 물질 농도는 제각각"이라며 "탱크의 70%에는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기준치 미만까지 떨어지지 않은 물이 있다"고 보도해 우려를 낳는 실정이다. 어렵게 회복한 한일관계의 지속 여부는 '신뢰'에 있음을 명심하기 바란다.
동해안 어민들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오염수 문제가 주목받으면 받을수록 어업인에게는 막대한 손해만 남는다. 정치적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이해 당사자임에도 목소리 내기조차 조심스럽다. 양이 적고 많고의 문제를 떠나 방류 이후 동해안 수산물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는 순간 모든 게 끝이라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방류가 조금이라도 계획과 다르게 진행된다면 정부는 지체 없이 일본 측에 방류 중단을 요청해야 한다. 꼼꼼한 감시가 절대 요소다. 일본 측도 30년간 계획대로 오작동 없이 가동되고 있는지 모든 과정을 낱낱이 공개해 주변국의 우려를 불식해야 한다. 어제만 해도 일본 언론은 "탱크에 담긴 처리수의 방사성 물질 농도는 제각각"이라며 "탱크의 70%에는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기준치 미만까지 떨어지지 않은 물이 있다"고 보도해 우려를 낳는 실정이다. 어렵게 회복한 한일관계의 지속 여부는 '신뢰'에 있음을 명심하기 바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