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일 경북도의회 연구단체인 경북도 어린이의료정책연구회가 김천의료원에서 '경북 중소도시 어린이 의료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진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경북도의회 제공> |
경북지역 중소도시에서 발생되는 공통 문제인 어린이 의료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홈케어(홈헬스)서비스를 도입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경북도의회 연구단체인 경북도 어린이 의료정책 연구회는 최근 김천의료원 회의실에서 '경북 중소도시 어린이 의료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보고회에서 연구를 맡은 이기효 인제대 교수는 도내 어린이 의료 인프라 및 의료서비스 현황과 일본 및 미국의 지방 어린이 의료서비스 정책·제도를 분석한 뒤 어린이 의료서비스 개선방안으로 홈케어(홈헬스)서비스의 시범적 도입을 제안했다.
홈케어서비스는 휴일이나 야간에 어린이 환자의 가정을 간호사가 방문해 홈케어진료센터(가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원격협진을 통해 진료 및 간호서비스, 약 처방 및 투약, 교육·상담 등 포괄적인 1차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어 토론에서 박채아(국민의힘·경산) 도의원은 "어린이 야간 응급환자 발생 시 소아 의료시설이 부족한 경북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소아과 의사 확보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대진(국민의힘·안동) 도의원은 정용구 김천의료원장으로부터 생생한 의료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된 점에 대해 감사를 표한 뒤 "소아청소년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지방 도시에서 공공병원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시스템 개선과 제도적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용진(국민의힘·김천) 연구회 대표 의원은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구현을 위해 우선적 과제로 미래의 주인공인 어린이들의 의료서비스 체계를 개선하고자 한다"며 "향후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전문가와 도민의 의견을 담아 경북도에 적합한 어린이 의료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도의회 차원의 지원을 끌어내겠다"고 강조했다.
장석원기자 history@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