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 회담이 임박하면서 한반도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특히 '한미일 대(對) 북중러'의 대결구도가 심화되면서 한반도가 신(新)냉전의 화약고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해외 언론매체 등에 따르면 김정은 위원장이 전용 열차를 타고 북한에서 출발해 12일 러시아에 진입했다. 정확한 장소나 날짜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푸틴과 만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에는 북한의 군부 실세가 대거 수행했다. 불법 무기거래와 군사협력이 주요 의제가 될 것이라는 관측을 뒷받침하는 배경이다.
전문가들은 북러 정상회담이 양국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라고 분석한다. 북한은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에 재래식 무기를 건네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대기권 재진입 기술과 핵추진 잠수함 개발 기술을 얻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한반도 안보 지형이 전면 바뀌는 상황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
또 러시아 크렘린궁이 김 위원장의 러시아 도착에 맞춰 대북 인도적 지원과 함께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문제까지 논의할 수 있음을 밝혀 우려를 더한다.
그동안 한국과 북한 사이에서 등거리 외교를 하던 러시아가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과 가까워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무기 지원을 통해 개입하게 되면, 한미일 대 북중러의 대결 형세가 고착화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일각에선 중국이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가 고착화되는 걸 반기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실제 중국은 한국행 단체여행을 전면 허용하며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최근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리창 중국 총리와 만나 한중일 정상회의 추진 의사를 밝혔다.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 대학원 교수는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한중일 대 북중러의 대립관계가 심화될 것이란 전망이 많지만 중국으로선 경제가 어려워진 상황이라 미국과의 관계를 더 신경써야 한다"며 "정부가 한미일 삼각 공조 강화에 나선 것 또한 중국이 미국, 한국과의 관계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압박을 주고 있다"고 했다. 중국이 미국과의 관계를 감안, 북러와 거리를 둘 것이라는 설명이다. 중국은 북한의 7·27 '전승절'과 9·9 정권수립 75주년에 파견한 대표단의 격을 이전에 비해 낮추기도 했다.
윤석열 정부가 북러의 밀착에 맞서 한미일 공조를 강화하면서 중국과의 외교에도 신경을 쏟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강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한미일 공조 강화로 중국이 북핵에 대한 일정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줬다"라며 "정부가 한미일 공조 전략을 지속하면서 대중 관계의 폭을 어떻게 넓히느냐가 한반도 정세 안정화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라고 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