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9월 군위군민회관에서 열린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기본계획수립 주민설명회'에 모인 군위 군민들이 향후 추진계획에 대한 설명을 경청하고 있다. 영남일보 DB |
![]() |
대구경북(TK) 신공항 조감도. 대구시 제공 |
대구경북(TK) 통합신공항 화물터미널 배치를 두고 대구시가 '합의는 지켜져야 한다'는 공식 입장을 냈다. 의성군이 화물터미널을 군위로 배치하면 신공항 사업 자체를 추진하지 않겠다며 극단적인 자세로 나오자 합의 이행을 촉구한 것이다.
대구시는 22일 입장문을 통해 "2020년 7~8월 군위와 의성 공동합의문 작성 당시 여러 자료와 상황을 볼 때 화물터미널은 군위에 배치하기로 한 것이 자명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무신불립(無信不立)이라는 말처럼, 공동합의문은 국민과 지역 주민에 대한 약속으로 지켜져야 하며, 대구시도 현재 공동합의문 이해를 위해 성실히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구시는 화물터미널이 군위에 배치된다는 걸 의성군도 알고 있었으며, 후속 대책을 마련해왔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시는 "공동합의문을 구체화하기 위한 공항시설 협의 단계에서도 의성군은 화물터미널이 군위에 배치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그 전제로 후속 대책을 마련해 온 게 사실"이라고 했다.
이들은 현실적인 신공항 시설 배치 여건상 화물터미널의 의성 배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대구시는 "화물터미널과 물류단지가 가까이 붙어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으나, 의성의 물류단지는 자가통관시스템, 상용 화주제 등을 통해 포장 통관 등 화물터미널 기능을 대부분 수행할 수 있어 일정한 거리 이격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일부 주장대로 활주로 서쪽 끝에서 동쪽 끝으로 화물터미널을 옮긴다 해도 그 차이는 최장 4㎞ 정도로 5분 거리에 불과해 큰 차이가 없고, 활주로 동쪽은 군사보안지역이기에 민간 화물터미널 입지가 불가하다"고 설명했다.
대구시는 입장문에서 의성 물류단지가 신공항 화물 운송을 전담하는 '유일하고 독점적인 물류단지'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이들은 "경제자유구역·자유무역지역·보세구역 지정 등 여러 법적 제도적 지위를 보장하겠다"면서 "기업유치를 통해 물류단지 경쟁력을 높이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의성 주민들에 대한 설득 작업에도 지속적으로 나서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시는 "국토교통부, 경북도와의 협의를 통해 의성군 설득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며 "신공항을 제대로 건설해 대구경북 백년대계와 시·도민이 번영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민경석
민경석 기자입니다. 제보를 기다립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