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신공항 화물터미널 배치를 둘러싼 대구시-의성군 간 갈등이 고조되면서 지역민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화물터미널 배치를 요구하는 의성군의 반발이 갈수록 거세지자 급기야 홍준표 대구시장이 의성군에 초강경 메시지를 던졌다. 홍 시장은 지난 4일 간부회의에서 "경북도·의성군과 협의가 무산될 경우 의성군수가 선언한 유치포기서를 받아서라도 신속히 대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홍 시장은 화물터미널 배치 협의 종료 시한을 이달 말까지로 못 박았다. 이제 공은 경북도와 의성군에 넘어간 셈이다.
화물터미널 입지 논란은 2020년 작성된 '공동합의문'이 모호한 데서 비롯됐다. 대구시 입장은 확고하다. 군위군에 짓기로 한 '민간공항 터미널'이 여객·화물터미널을 아우르는 게 당연하고 이미 문서로 합의된 사안이라는 것. 이런 방침은 대구시가 지난해 8월 국방부·공군 등과 함께 수립한 TK신공항 기본계획에서 공개됐다. 이어 지난 8월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대구민간공항이전 사전타당성 연구용역 결과에서도 재차 확인됐다. 하지만 의성군은 "당시 합의문에 적시된 민항터미널에 화물 이야기는 없었다"며 화물터미널 군위 배치 철회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대구시와 의성군 간에 공동합의문에 대한 해석 차이가 이토록 크다는 게 쉽게 납득이 안 간다.
대구경북의 미래가 걸린 신공항 건설이 어떤 이유로도 차질을 빚어선 안 된다. 물류터미널 갈등 돌파구를 찾으려면 대승적 차원의 양보와 협상이라는 순리를 따라야 한다. 협상 시일이 촉박한 만큼 신공항 관련 단체장들은 당장이라도 머리를 맞대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해야 한다. 경북도와 지역 정치권의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이 절실한 시점이다.
화물터미널 입지 논란은 2020년 작성된 '공동합의문'이 모호한 데서 비롯됐다. 대구시 입장은 확고하다. 군위군에 짓기로 한 '민간공항 터미널'이 여객·화물터미널을 아우르는 게 당연하고 이미 문서로 합의된 사안이라는 것. 이런 방침은 대구시가 지난해 8월 국방부·공군 등과 함께 수립한 TK신공항 기본계획에서 공개됐다. 이어 지난 8월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대구민간공항이전 사전타당성 연구용역 결과에서도 재차 확인됐다. 하지만 의성군은 "당시 합의문에 적시된 민항터미널에 화물 이야기는 없었다"며 화물터미널 군위 배치 철회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대구시와 의성군 간에 공동합의문에 대한 해석 차이가 이토록 크다는 게 쉽게 납득이 안 간다.
대구경북의 미래가 걸린 신공항 건설이 어떤 이유로도 차질을 빚어선 안 된다. 물류터미널 갈등 돌파구를 찾으려면 대승적 차원의 양보와 협상이라는 순리를 따라야 한다. 협상 시일이 촉박한 만큼 신공항 관련 단체장들은 당장이라도 머리를 맞대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해야 한다. 경북도와 지역 정치권의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이 절실한 시점이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