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외부에 감리를 맡긴 건설현장에서 더 많은 사망·부상자가 발생해 외부 감리업체의 안전관리가 부실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학용 의원이 LH로부터 받은 'LH 건설현장 각종 안전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LH가 자체 감독한 166개 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자 수는 총 146명으로 집계됐다. 현장당 0.87명꼴로 재해자가 발생한 셈이다.
외부 감리 건설현장 205곳에선 218명의 재해자가 발생해 현장당 재해자 발생 수(1.06명)가 더 많았다.
최근 5년으로 조사 기간을 확대해봐도 동일한 추세가 나타났다.
2018∼2022년 LH 자체 감독 현장 1천294곳에서는 690명(현장당 0.53명)의 재해자가 나왔으나, 같은 기간 외부 감리 현장 707곳에선 578명(0.81명)이 숨지거나 다쳤다.
문제는 LH의 외부 감리 현장 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2018년만 해도 외부 감리 현장 수는 96곳이었으나, 2019년 100곳, 2020년 114곳, 2021년 192곳, 2022년 205곳이며, 올해는 현재까지 242곳에 이른다.
김 의원은 LH의 부실 공사 사태로 드러난 전관예우 문제를 지적하며 "외부 감리 기관 선정 시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감리 부실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이는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박주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