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동시가 안동대 현장민원실을 운영해 전입신고를 받고 있는 모습(왼쪽)과 시가 진행한 미혼남녀 인연만들기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이 체험수업을 하고 있는 모습. <안동시 제공> |
경북 안동시가 지역적 특색을 살린 생활인구 유치와 미래사회 변화의 모습을 예측할 수 있는 인구정책을 설계한다.
안동은 지역 내 자연적 감소(사망)와 사회적 감소(전출) 등이 꾸준히 증가하는 데다 젊은 계층(19~30세)의 타 지역 대학 진학이나 취업이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안동시는 미래 인구맵을 설계하고, 안동주소갖기 운동, 인구정책 아이디어 공모, 미혼남녀 인연만들기 프로그램, 인구정책 가족 친화 창작극(뮤지컬) 공연 등의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안동주소갖기 운동, 귀농·귀촌, 대학생 전입 유치 등에 적극 나서 정주 인구부터 늘릴 계획이다.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 부서별 사업도 총 4개 분야에 39개 사업을 추진한다. 여기에다 생활인구 확대 및 인구 활력 방안 아이디어 공모전, 인구감소대응위원회 및 저출산 고령사회정책위원회도 운영한다.
![]() |
안동시가 안동대 현장민원실을 운영해 전입신고를 받고 있는 모습(왼쪽)과 시가 진행한 미혼남녀 인연만들기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이 체험수업을 하고 있는 모습. <안동시 제공> |
안동주소갖기 운동은 저출산·고령화 및 전출 등 지속적인 인구감소로 지방소멸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내 기업체·유관기관 등의 집중적인 홍보 및 지원을 통해 동참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취지다.
현재 안동엔 159개의 기관 및 단체가 있다. 총 소속 인원만 2만6천600여 명에 달한다. 이 중 안동지역이 아닌 곳에 주소를 둔 인원만 1만명에 육박한다. 3개 대학 학생 수도 9천명에 달하지만, 타 지역 주소를 가진 학생들이 6천500여 명이다.
안동시는 중·장기적 계획으로 안동시 미래 인구맵 설계를 추진한다. 이는 인구개념이 정주 인구에서 생활인구로 바뀌면서 생활인구 유치 및 확대를 위한 인프라·문화·행정정책 마련도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미래 인구맵은 미래사회의 변화 모습을 예측하고 인구정책 방향도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래 인구구조 변화를 예측 시나리오로 설계해 사회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안동시는 또 인구요소 분석 및 현재 인구 정책을 진단하고, 미래 인구 추계 시나리오도 설계한다. 맞춤형 인구전략 방향 및 우선 과제를 제시하고, 예천·의성·영주 등 인구 5만명 이상 연접 시·군과 연계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실제로 미래 인구맵은 지역 활력 제고를 위한 정확한 목표 설정이 가능해져 미래 인구정책 방향 및 인구 시나리오 활용방안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동시는 생활인구 1만명, 정주(청년) 인구 2천명 증대를 인구정책 첫 목표로 설정했다. 우선 올 연말까지 목표 달성을 위해 시민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인구정책 아이디어를 발굴해 시책에 반영해 인구감소율을 완화할 방침이다. 인구감소에 대한 시민의 공감대 형성뿐만 아니라 발굴한 정책을 관련 부서의 검토를 거쳐 신규사업으로도 추진한다.
안동시 관계자는 "수요자 입장에서 필요한 아이디어를 시책에 적용하게 되면 인구감소 대응은 물론 살고 싶은 안동 만들기에도 큰 보탬이 될 것"이라며 "시민이 원하는 정책도 함께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