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7일 이틀간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한국수력원자력 '2023 대한민국 수력 산업·학술 컨퍼런스'가 열린 가운데 황주호(가운데) 사장이 전시품을 보며 설명을 듣고 있다. 한수원 제공 |
![]() |
6·7일 이틀간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한국수력원자력 '2023 대한민국 수력 산업·학술 컨퍼런스'가 열린 가운데 황주호 사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수원 제공 |
한국수력원자력이 6·7일 이틀간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2023 대한민국 수력 산업·학술 컨퍼런스'를 열었다.
컨퍼런스는 수력발전 기술의 국산화 추진을 기념하고, 수력 산업 육성을 위해 마련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 등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대한전기학회, 두산에너빌리티 등 산·학·연 관계자 2천 명이 참석했다.
컨퍼런스는 '중소기업 동반 성장 사업 설명회'를 시작으로 '수력양수발전연구회 학술대회', '수력발전 기술 공청회' 등의 프로그램이 열렸다.
최근 기후 변화와 신재생에너지의 수요 증가로, 수력·양수 발전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한수원은 올해 1월부터 진행 중인 화천수력 3호기 현대화 사업을 계기로 그간 해외 기술에 의존했던 수력발전 기술의 국산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제10차 전력 수급 기본 계획에 따르면, 국내에는 2036년까지 양수, BESS(화학적 배터리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26기가와트(GW)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추가 건설될 계획으로, 그 규모가 45조 원에 달한다.
해외도 현재 1천392GW인 수력 설비가 2035년 2천54GW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한수원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수력발전 주기기와 보조기기 등 기자재를 국산화하고, 건설·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력 산업 플랫폼을 구축해 국내외 시장에서 수력발전 산업을 선도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준비할 계획이다.
황주호 사장은 "컨퍼런스를 통해 국내 수력 산업의 전문가와 기업이 수력발전 기술과 산업 동향을 공유해 수력 기술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수력 기술 국산화를 통해 우리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한수원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