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1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3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청년의 약속' 선포식에 앞서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출범 보름여 만에 각종 혁신안을 내놓고 있지만 당 지도부와 중진들이 이를 제대로 뒷받침 못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혁신위는 지난달 27일 '징계 취소' 1호 혁신안을 내놓데 이어, 지난 3일 '수도권 험지 출마' 등을 중점으로 하는 2호 안건, 지난 9일 3호 안건을 발표했다. 문제는 당 지도부가 받아드린 것은 1호 혁신안뿐이라는 것이다. 가장 주목도가 높았던 지도부, 중진, 윤핵관에 대한 불출마 혹은 수도권 험지 출마 요구에는 열흘 넘게 반응이 없다. 인요한 혁신위원장은 해당 권고를 발표한 뒤 "대통령을 사랑하면 험지에 나오라"며 압박성 메시지를 연일 내놓고 있다.
이에 김기현 대표는 지난 9일 "모든 일에는 시기와 순서가 있다. 급하게 밥을 먹으면 체하기 십상이니 잘 한번 보자"고 했다. 혁신위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내년 총선이 5개월 가까이 남았고, 공천 기초 작업조차 시작되지 않은 만큼 '타이밍'을 기다리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다만 5선의 주호영 의원은 지난 8일 대구 수성갑 의정보고회에서 "정치를 처음 대구에서 시작했으니 대구에서 마쳐야 하지 않겠나"라며 "절대 (서울) 갈 일 없다"고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혁신위 역시 타이밍을 기다리는 분위기다. 혁신위가 불출마·수도권 출마 요구를 아직 '구두 권고'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도 이런 상황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다. 적절한 시기가 오면 지도부에 안건으로 정식 제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정치개혁 내용을 담은 2호 혁신안, 총선 공천 과정에서 청년을 우대하는 3호 혁신안도 아직 지도부의 공식 의결을 거치지 않았다. 45세 미만 청년 비례대표 50% 할당·우세 지역구 청년 배정 등 3호 혁신안은 이르면 오는 13일 최고위원회의에 안건으로 상정될 가능성이 있으나, 수용될지는 미지수다.
국회의원 10% 감축·불체포특권 포기·국회의원 세비 삭감·현역의원 평가 하위 20% 공천 원천 배제 등 2호 혁신안은 '개혁 의제'를 선점하면서 야당을 압박할 수 있는 방안이다. 하지만 지도부는 결정을 망설이고 있다. 가장 민감한 현역의원 평가 하위 20% 공천 배제의 경우 향후 총선기획단, 공천관리위원회 등에서 실무적 검토를 거쳐 수용 여부와 구체적 방식을 정해야 한다는 게 지도부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 지도부가 혁신위의 각종 혁신안을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당내 견해차가 크다면 현실적으로 모두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또 의견 수렴, 입법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거나 공천 심사 때 구체화해야 하는 사안들이기에 의결을 아직 하지 않은 것뿐이라는 입장도 적지 않다. 당내 분위기는 혁신위 성공 여부가 내년 총선 승리와 직결된다는 것에 이견이 없는 점이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