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영남일보 DB |
![]() |
14일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에 따르면 12월 전국 주택사업 경기 전망지수는 63.3으로 지난달(68.8)보다 5.5포인트 하락했다.
이 지수는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산출되며, 기준선(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도권은 지난달 83.5에서 이달 70.1로 13.4포인트 떨어졌다.
인천이 83.3→66.6으로 16.7포인트 내려 하락 폭이 가장 컸고 서울(86.3→73.9)과 경기(81.0→69.7) 역시 각각 1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비수도권은 지난달 65.6에서 이달 61.9로 3.7포인트 하락해 2개월째 60대에 머물렀다.
광역시 중에선 대구가 72.7→75.0로 2.3포인트 오른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내림세였다.
대구의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상승한 것은 지난 1월 대구시가 신규 주택건설 사업계획 승인 전면 보류를 선언한 이후 인허가가 중단돼 공급이 끊긴 점과 준공 후 입주가 어느 정도 소화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광주가 84.2에서 63.1로 21.1포인트 떨어져 하락 폭이 전국에서 가장 컸고 대전(71.4→60.0), 부산(70.8→69.2), 울산(56.2→55.5) 등의 순으로 하락했다. 세종(81.2→70.5)의 내림세도 가팔랐다.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지역의 지수는 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충북은 69.2→ 50.0으로 떨어져 전국에서 지수가 가장 낮았으며, 하락 폭도 기타 지방 가운데 가장 컸다.
경북의 경우 64.7→66.6로 1.9포인트 올랐다. 전북(50.0→64.2), 제주(52.9→64.7) 등도 상승했다. 그동안 공급이 크게 감소해 공급 부족에 따른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주산연 관계자는 "최근 몇개월간 가파른 금리상승으로 주택시장이 빠르게 냉각되고 있고,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금융의 부정적인 요소들이 겹치면서 주택사업자들의 경기전망이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앞으로 금리상승세가 완화되고 PF 문제가 어느정도 정리된다면 부정적인 인식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박주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