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의혹의 정점으로 지목된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가 18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검찰 차량에 타고 있다. 연합뉴스 |
지난 2021년 민주당 전당대회 당시 송영길 캠프에서 조직적으로 금품이 뿌려졌다는 '민주당 돈봉투 의혹' 수사가 본격화되자 송 전 대표도 수사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졌다. 송 전 대표는 "전혀 아는 바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송 전 대표는 민주당을 탈당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지난 4월 24일 자진 귀국했다.
송 전 대표는 검찰에 주변 대신 자신을 수사하라며 5월 2일과 6월 7일 두 차례 '셀프 출석'을 시도했지만 검찰은 "때가 되면 부르겠다"며 그를 돌려보냈다. 이에 송 전 대표는 검찰청사 앞에서 농성을 벌이고, 10월에는 '송영길의 선전포고'라는 책을 펴내 검찰과 윤석열 정부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8개월에 걸친 양측의 신경전 끝에 법원이 '구속영장 발부'로 검찰의 손을 들어줌에 따라, 송 전 대표는 인생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형사소송법상 구속 기소된 피고인의 1심 최장 구속 기간은 6개월로 내년 총선 등 당분간 정치적 재기를 노리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설령 구속적부심이나 보석 등으로 풀려난다고 하더라도, 일단은 재판에서 무죄를 입증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다. 만약 재판에서 불법 정치자금 및 뇌물, 당내 금품 살포 등 혐의가 유죄로 인정된다면 정치적으로는 '사망 선고'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송 전 대표의 신병을 확보한 검찰은 금품 수수 의혹을 받는 민주당 전·현직 의원을 대상으로 조만간 수사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검찰은 돈봉투를 수수했다는 의혹을 받는 민주당 현역 의원이 최대 20명여 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무소속 이성만 의원과 민주당 임종성·허종식 의원 등 3명에 대해 수수 혐의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