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공공임대주택서 자살·고독사 413명…"노후 주거환경 개선 필요"

  • 박주희
  • |
  • 입력 2023-12-26  |  수정 2023-12-26 07:51  |  발행일 2023-12-26 제16면
대부분 영구임대주택 거주자…1인 가구·60세 이상 비율이 약 60%

"영구임대주택 내 지역사회복지관에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확대 배치

장기적으로 낡은 영구임대주택 재건축 관련 제도적 준비 필요"
5년간 공공임대주택서 자살·고독사 413명…노후 주거환경 개선 필요
게티이미지뱅크
5년간 공공임대주택서 자살·고독사 413명…노후 주거환경 개선 필요
5년간 공공임대주택서 자살·고독사 413명…노후 주거환경 개선 필요
최근 5년간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413명이 자살·고독사로 생을 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90% 가량이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였다.

25일 국토연구원의 '영구임대주택 입주자의 사회적 고립과 자살 예방을 위한 지원 방향' 보고서를 보면 2018∼2022년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중 220명이 자살, 193명이 고독사했다. 이는 주택관리공단에서 관리하는 공공임대주택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다.

고독사와 자살은 공공임대주택 중에서도 생계·의료급여 수급자를 포함해 취약계층이 주로 입주하는 영구임대주택에서 높은 비율로 발생했다.

2020년 공공임대주택에서 발생한 자살의 87.8%(29건)와 고독사의 92.9%(39건)가 영구임대주택에서 일어났다.

특히 1인 가구와 고령층 가구가 자살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공공임대주택에서 발생한 자살의 56%(27명)는 1인 가구였고, 58%(28명)는 60세 이상이었다.

영구임대주택은 공간적 고립과 입주자의 정신건강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고독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자살 예방 등을 위해 전담 주거복지사가 배치돼 있고, 그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올해 기준 주거복지사 1명이 관리하는 세대수는 1천285명으로 업무 부담이 큰 상태다. 자살 및 고독사 예방을 위한 업무를 추가로 담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박기덕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영구임대주택 입주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단지 내에 설치된 지역사회복지관에 정신건강 사회복지사를 확대 배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노후한 영구임대주택의 물리적 환경도 개선돼야 한다"며 "질 낮은 주거 환경이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꾸준한 주거환경 개선과 사후관리가 중요하다. 마을정원, 치유놀이터 조성 등 단지 커뮤니티시설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론 노후 영구임대주택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재건축 관련 제도적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주희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