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 |
대구본부세관 제공 |
22일 대구본부세관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경북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5억934만 달러로 집계됐다. 2013년(2억4천869만 달러)과 비교하면 10년 새 105% 증가했다. 이 중 FTA 체결국으로의 수출액은 4억 달러를 넘는다.
품목별로는 음료류, 농산 가공품, 과실류, 수산물 및 수산 가공품, 조제 식료품이 수출을 주도했다.
지역 농수산식품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음료류다. 지난해 음료류 수출액은 1억5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 주로 미국·중국행 수출이 활발했다. 특히 주류의 경우 전년 대비 무려 31%나 증가하는 등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주요 과실류 수출 중에선 포도가 으뜸 효자 품목이었다. 상주와 김천의 특산품인 포도는 대만·홍콩·베트남 등으로의 수출이 확대됐다. 수출액은 3천500만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이에 대구경북 포도 수출액은 전국의 79%를 점유했다.
수산물 및 수산 가공품중에는 주로 유럽과 일본으로 수출하는 다랑어와 붉은 대게살의 수출액이 전년 대비 각각 34%, 19% 증가한 2천600만달러, 2천800만달러를 기록했다.
대구본부세관은 전 세계적인 K푸드 인기와 정부의 수출확대 전략에 발맞춰 지역 농수산식품 수출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대구본부세관은 5개 기관(경북도·아마존코리아·코트라·농수산식품유통공사·상공회의소)과 함께 수출지원 협업체계를 구축했다. 일대일 컨설팅, 온라인 수출관련 정보제공 등 무역 전반에 대해 합동 지원하고 있다.
김정 대구본부세관장은 "올해도 지역 농수산식품 수출 전망이 밝다"며 "올해 경북도 및 각 지자체와 협력해 직수출에 관심있는 농수산물 영농조합, 수출기업 등을 발굴해 수출을 지원할 것이다. 원산지 인증 수출자, 관세환급, 해외통관애로 해소 등 적극적인 관세행정 컨설팅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농수산식품 수출국에서 FTA 체결국 비중이 큰 만큼 중소 수출기업이 FTA를 활용할 수 있는 품목을 적극 발굴하겠다"고 부연했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박주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