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사 바닥에 길쭉한 구멍이 뚫려 있다. 아래에는 1m 깊이의 피트가 구축돼 있다. 오주석 기자 |
![]() |
경북 봉화의 대규모 양돈 농장. 오주석 기자 |
"농가마다 쌓여있는 분뇨가 문제 입니다. 제때 수거만 돼도 환경 문제의 상당 부분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경북 봉화군에서 대규모 양돈 농장을 운영하는 김민수(가명)씨는 올바른 분뇨 처리가 축사 환경 문제 해결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23일 찾은 김씨의 농장은 우리마다 수십 마리의 돼지가 사육되고 있었다. 이 농장은 시설현대화가 완료된 무창형 돈사로, 바닥에는 길쭉한 구멍이 뚫려 돼지 분뇨가 모이는 피트(Pit) 구조를 갖췄다. 돼지 분뇨는 1m 깊이의 피트에 차곡차곡 쌓인 뒤 정제·발효 과정을 거쳐 농업용 퇴비로 완성된다.
김씨는 "돼지를 키우는 데 큰 걸림돌은 매일 산더미처럼 쌓이는 분뇨의 처리다. 과거엔 분뇨를 비료로 만들기만 하면 생산 공장에서 수거해갔지만, 요즘은 비료가 남아돌아 농가마다 분뇨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북에선 축산업의 성장과 함께 가축 분뇨 발생량이 급증하고 있다.
23일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의 가축 분뇨는 2015년 660만t에서 2022년 822만t으로 24% 늘어났다. 문제는 늘어난 가축 분뇨를 처리할 여력이 부족하다는 데 있다.
경북지역 가축 분뇨 처리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 전체 가축 분뇨의 87.7%인 721만t이 퇴비(625만3천t)와 액비(95만9천t) 등 자원화에 쓰였다. 반면, 나머지 101만t은 정화방류 형식으로 개별처리(64만t)하거나 공공처리장(37만t)에 위탁한 것으로 나타났다.
![]() |
봉화 양돈 농장에서 생산한 농업용 퇴비. |
한 축산업 관계자는 "토양 양분 과잉 및 살포지 감소로 인해 가축 분뇨를 퇴비로 만들어 땅에 뿌리는 것은 한계에 봉착했다"며 "소규모 농가에서 처리한 분뇨는 상품성이 떨어지다 보니 창고에 쌓여만 가고 있다. 사실상 흘려보내도 제재할 방안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여기다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을 구체화하고 있어, 가축 분뇨 처리는 더욱 힘들어질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30년 온실가스 배출 목표량을 2018년 대비 22.5% 감축으로 설정했다.
가축분 퇴비화, 농경지 살포과정에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축산 농가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 환경 문제를 단계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이기홍 대한한돈협회 이사는 "자원화가 가능한 가축 분뇨를 원활하게 유통할 수 있는 창구 마련이 절실하다"며 "농가 혼자만 분뇨 문제를 떠안지 않도록 공공처리시설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글·사진=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