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건설업의 체불 급증 여파로 지난해 전체 업종 임금 체불액이 1조7천억원을 훌쩍 넘겨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2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총 임금체불액은 1조7천845억3천만원으로, 전년(1조3천472억원)보다 32.5% 증가했다. 역대 최대였던 2019년 (1조7천217억원)을 넘어선 규모다.
연도별 체불액은 2019년 정점을 찍은 후, 코로나19 기간인 2020년(1조5천830억원)과 2021년 (1조3천504억원 )엔 감소 추세였다.
지난해 체불 피해 근로자도 27만5천432명에 달한다. 2022년엔 23만8천명 수준이었다.
작년 체불액이 다시 치솟은 것은 코로나 팬데믹이후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건설업 체불 증가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경기 부진,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 탓에 건설업종 체불액 규모가 크게 불어났다. 2022년 2천925억원에서 지난해 4천363억원으로, 무려 49.2%나 급증했다.
특히 최근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에 들어간 태영건설의 공사 현장에서도 하도급 노동자 임금체불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얼마 전 대구 동구 신천동 옛 동부정류장 자리에 짓고 있는 아파트 공사장에선 임금 체불 문제로 형틀 공사 등 일부 공정이 중단되는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건설업 외에 제조업의 작년 체불액은 5천43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역시 전년(4천554억원) 대비 19.4% 늘었다. 이밖에 도소매·음식·숙박업(2천269억원), 금융·부동산서비스업 (1천997억원), 운수창고통신업 (1천578억원), 기타 (2천203억원 )등에서 임금 체불이 발생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지난 15일부터 태영건설의 전국 모든 시공현장(105곳)과 민간 건설현장 500곳에 대해 임금체불 예방과 청산을 위한 일제 점검을 벌이고 있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박주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