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게재 논문 공동 교신저자인 배규열(왼쪽) 포스코 수석연구원과 문준오 국립창원대 교수. |
포스코가 개발한 용접기술이 세계적인 학술지에 실려 화제다.
13일 포스코에 따르면 고성능·저원가 기가스틸 용접 기술인 'PosZET® GIGA'(포스젯 기가)가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됐다.
이번에 개발한 용접 기술은 니켈 대신 니오븀(Nb)과 크로뮴(Cr)을 최적의 비율로 배합해 용접용 소재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접합부 용접 금속의 미세조직을 그물망과 같이 복잡하고 치밀한 구조로 만들어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높였다.
포스젯 기가 기술을 활용하면 접합부의 굽힘 피로 강도는 기존보다 약 2배 이상 늘어나고 충격 인성은 약 15% 높아진다. 섀시나 프레임 등의 자동차 부품 제작에 적용하면 일반 용접 기술보다 반복적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도 접합부가 쉽게 깨지지 않고 버틸 수 있어 차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용접부위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 강판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차량 경량화 설계에도 기여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니켈을 주로 사용하던 기존 방식 대비 원가는 절반가량으로 줄어든다.
포스코는 국립창원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이 기술을 금속학적으로 규명했다.
니오븀과 크로뮴의 복합 첨가가 용접 금속의 미세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원자 수준에서 밝힌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적 중요성과 상업적 경제성을 인정받아 지난 12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돼 대중에 공개됐다.
포스코 측은 "포스젯 기가는 최근 글로벌 자동차사로부터 기술 적용 승인을 받아 실제 자동차 부품화에 활용될 예정"이라며 "향후 이 기술을 활용해 기가스틸의 판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