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예천군 경북도청신도시 제 1공영주차장이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오주석 기자 |
![]() |
경북 예천군 경북도청신도시 주변에 "불법 주정차 주민 신고 다발 지역입니다"라고 쓰인 현수막이 걸려 있다. 오주석 기자. |
"자리가 항상 없네." 20일 오전 경북 예천군 제1공영주차장. 아직 점심시간이 되지 않은 시간이지만 주차장은 승용차로 가득 찼다. 뒤늦게 주차장에 도착한 차량은 주변을 2~3번 돌고 나서 빠져나가길 반복했다. 급한 대로 갓길에 주차한 뒤, 차에서 내려 식당으로 발길을 옮기는 사람들도 간간이 보였다.
'불법 주정차 주민 신고 다발 지역입니다'라고 적힌 경고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 있는 이곳은 예천 도청신도시 중심상가 지역이다. 상가 이용자들은 만성적인 주차난에 공영주차장 이용에 불편을 겪는다고 토로한다. 점심 약속을 위해 이곳을 찾았다는 윤모(48) 씨는 "무료로 운영되는 공영주차장의 경우 아무래도 자리 경쟁이 치열하다"라며 "더 많은 이용객이 주차장을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장기간 주차 중인 차량을 관리가 필요가 있어 보인다"라고 했다.
![]() |
경북도서관 인근 공터에 고급 승용차가 찌그러진 채 방치되고 있다. 오주석 기자 |
하지만 올 하반기부터 이런 현상이 다소 개선될 전망이다. 정부가 현행 주차장법을 개정해 오는 7월부터 무료로 운영되는 공영주차장에 한달 이상 장기 방치된 차량을 지자체가 이동 명령하거나 강제 견인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경북에서는 무료 개방 공영주차장 1천 218개소(6만6천158면)가 시행령 적용을 받게 된다. 도내 무료개방 공영 주차장은 포항(280개소)과 경산(189개소), 안동(96개소), 경주(80개소) 등에 밀집해 있다. 경북도는 개정된 주차장법을 도내 공영주차장에 적용해 지역 활성화를 촉진하겠다고 방침이다.
김영섭 경북도 교통정책과장은 "무료 공영주차장은 상가나 전통시장 활성화의 일등 공신인 만큼 이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시행령 개정에 맞춰 공영주차장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