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7일 여름철 자연재난 점검 회의에 참석한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재난 대비 체계 전환을 강조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경북도가 여름철 자연재난으로부터 도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재난 대비 체계를 사후 복구에서 사전 단계로 전환키로 했다. 기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측해 재난 12시간 전 주민 대피를 완료하는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을 가동하는 등 피해 최소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7일 여름철 자연재난 점검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해 경북 북부지역에 유례없는 극한 호우로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한 데 이어, 최근 중국 광둥성·두바이·케냐에서 물 폭탄으로 몸살을 앓는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이를 대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이 지사는 여름철 자연재난(태풍, 호우)으로부터 '인명피해 ZERO', '재산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제시했다. 특히 올해부터 재난관리 체계를 사후 복구에서 사전 대비체계로 대전환해 인명피해 최소화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대책 방안으로 경북도는 여름철 풍수해 대책 기간(5월 15일~ 10월 15일) 내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K-CIitizen First)을 적극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인명피해가 주로 야간과 같은 취약시간에 발생한다는 것에서 착안한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은 기상 관측 등을 활용한 '12시간 전 사전대피 예보제'를 통해 일몰 전까지 주민 대피 완료를 목표로 한다.
재난 발생 전 위험징후를 감시하고 재난 상황을 전파하는 마을순찰대도 활성화할 방침이다. 이·통장, 자율방재단, 의용소방대, 자율방범대 등 2만 4천920명으로 구성된 '마을순찰대'를 도내 5천189개 마을에 가동한다. 그 밖에 대피 명령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부하는 주민에 대해서는 경찰, 소방, 이·통장, 전담 공무원으로 구성된 '주민대피협의체'를 동원해 강제 대피 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도는 지난해 호우·태풍피해 복구 사업장(1천915개소), 산사태 취약지역(5천396개소), 재해예방사업장(204개소), 우수유출 저감시설(14개소), 재난·경보시설 4천887개소) 등 취약지역과 시설물에 대한 일제 점검을 지난달 말까지 완료했다.
마을대피소 5천725개소에 대한 1차 점검에서 603개소의 위험 마을대피소를 확인했고, 5월 말까지 전문가와 합동으로 2차 점검을 완료해 부적합 대피소는 변경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자연재난은 막을 수는 없지만 철저한 사전 대비와 사전대피 등 과잉 대응으로 피해는 막을 수 있다"라며 "각 기관이 추진하는 공사 현장 추진 상황과 사전통제, 주민 대피계획, 취약계층 안전관리 등을 꼼꼼하게 점검해 올해만큼은 인명피해 없는 해로 만들자"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점검 회의에선 경북교육청, 경북경찰청, 대구지방기상청, 제50보병사단, 전력공사,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도로공사, 적십자사, KT 등 관계기관과 22개 시군 부단체장이 참석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