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 구지면에 자리잡은 대구국가산업단지 1단계 조성사업은 2016년말 완료돼, 첨단 소재·부품·장비업종 중심으로 가동되고 있다. 올 연말 2단계 사업이 마무리되면 지역 경제를 이끄는 첨단 제조분야의 산실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윤호기자 yoonhohi@yeongnam.com |
지역기업의 추가 부지 수요 충족, 외지 첨단업종 유치, 청년 이탈 방지를 일정 부분 해소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 대구국가산업단지가 지정된 지 올해로 15년째다. 그 상징성을 살리기 위해 그간 대구시는 기를 쓰고 이곳에 2차전지·모빌리티, 로봇 업종 기업 유치에 매달렸다. 조금씩 그 성과는 나타나고 있다. 대구 미래첨단산업의 보고(寶庫)인 대구국가산단의 성패는 대구지역 다른 일반산단의 동반 업그레이드도 유도할 수 있다.
◆첨단 산단의 다변화 수요
달성군 구지면 일대에 들어선 대구국가산단은 대구 도심에서 30~40㎞ 떨어졌다. 소위 이름값 하는 첨단기업들이 즐비하다.
국가산단은 전자 부품, 차 부품, 기계장비 업종들이 가득했다. 테크노폴리스, 달성1·2차, 성서산단 등 주변 산단과 연계하며 전·후방산업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국내 대표 2차전지 기업 <주>엘앤에프를 비롯해, 케이비와이퍼시스템<주>, <주>구영테크, <주>대동모빌리티 등이 대표기업들이다.
올해 3월 기준 공단 가동률은 82.1%로, 지난해 같은 기간(71.7%) 대비 10% 가량 상승했다. 수출실적은 지난 3월(2억2천400만 달러)을 빼고는 그간 꾸준히 4억 달러를 웃돌고 있다.
최근엔 생산실적이 급감했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대구국가산단의 3월 생산 실적은 3천307억원이다. 지난 2월(5천765억원) 대비 42.6% 떨어졌다. 전기차 수요 하락에 따른 2차전지업계 불황에서 기인한 결과다. 업계에선 캐즘(Chasm·일시적 정체)이란 시각이 있지만 대비책은 필요하다. 시는 안정적인 국가산단 운영을 위해 다양한 모빌리티산업군 내에서도 사업 스펙트럼을 확대해 가려 한다.
국가산단 발전전략 다변화에 대한 목소리도 들린다. 이상훈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은 "대구국가산단 입주기업의 생산활동과 연구개발 지원을 위해 규제개선 및 산업 집적지 경쟁력 강화사업 쪽에 성과가 나야 한다"며 "특히 디지털 인프라 및 무탄소 산업단지로의 전환을 통해 신규 기업 유치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입주기업 위한 '통합 기숙사' 건립 절실
지속가능한 대구경제의 구심점인 대구국가산단은 고부가가치산업 육성과 지역 인재유출 방지 측면에서 큰 주목을 받는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도심과 멀리 떨어져 있고 정주 여건이 부족하다. 젊은 인재들이 지원을 망설이는 이유다.
가장 큰 문제는 산단 내 생활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도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편의점도 차를 타고 이동해야 이용할 수 있다. 그 흔한 식당, 놀거리 시설은 기대하기도 힘들었다.
한 입주업체 관계자는 "공장 확장을 위해 대구국가산단에 부지를 매입했지만 국가산단에서 일하기를 꺼리는 근로자가 많아 공장을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들도 도심에서만 일하려고 해 입사를 꺼리는 상황"이라며 "외곽산단이다 보니 도심 속에서 누릴 수 있는 인프라가 제한적이다. 아직까진 근로자가 '일하고 싶은 산업단지'는 아닌 것 같다"고 토로했다.
주거 시설 미비도 고민거리다. 한 차부품 업체의 근로자들 대부분은 대구 도심에서 출퇴근하고 있다. 국가산단과 인근 테크노폴리스에 거주하는 근로자는 손에 꼽을 정도라고 한다. 주거단지엔 아파트만 즐비할 뿐, 1인 또는 2인 가구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오피스텔 등이 없다.
산단 내 한 업체 관계자는 "규모가 큰 기업이라도 거주시설이 부족하면 인재들이 지원을 망설인다"며 "산단 입주기업 근로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통합 기숙사' 건립이 절실하다. 1인 가구가 선호하는 오피스텔도 많이 지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남영 기자
이동현 기자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