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택용소방시설 홍보 포스터. 대구서부소방서 제공. |
![]() |
단독경보형감지기. 게티이미지뱅크. |
화재로 인한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주택화재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대구경북의 '주택용 소방시설' 보유율은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소방청 국가화재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5년(2019~2023년)간 대구경북지역 주택화재(단독주택, 공동주택) 건수는 대구 1천581건, 경북 3천171건 등 총 4천752건으로 집계됐다. 전체 화재(2만771건)의 22.9%가 주택에서 발생한 것이다.
주택화재는 다른 화재보다 발생 건수 대비 높은 사망자 수를 보였다. 이 기간 대구경북의 주택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100명(대구 39명, 경북 61명)으로 전체 화재 사망자(178명)의 56.2%에 달했다. 특히 지난해 대구의 화재 사망자 14명 중 13명(92.9%)이 주택화재로 숨졌다.
주택은 화재 발생 시 대형 화재로 번질 우려가 커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 정부와 각 지자체는 주택화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독경보형 감지기, 소화기 등 주택용 소방시설의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과 조례를 제정해 관리하고 있다.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화기는 세대나 층별로 1개 이상 비치해야 하고,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실내 거실 등 구획마다 1개 이상을 천장에 설치해야 한다.
법적 의무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주택용 소방시설의 실제 설치율은 저조하다.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전국 주택 내 소방시설 보유 여부를 조사한 결과, 소화기와 화재경보기를 모두 설치한 가구는 전체 가구의 60.6%에 불과했다.
대구경북의 주택 소방시설 보유 및 설치율은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대구의 주택 소방시설 보유 및 설치율은 57.5%로 전국 7개 특별·광역시 중 서울(56.9%), 부산(57.2%)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았다. 경북은 49.3%로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소방 당국은 주택화재 발생 시 빠른 초기 대응을 위해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를 당부했다. 실제로 지난 2022년 대구 북구 동호동 소재의 한 단독주택에서 불이 났지만, 이웃 주민들이 주택 내 소화기로 초기 진화에 성공해 피해 확산을 막았다.
소방 관계자는 "주택화재는 예고 없이 찾아오며,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며 "주택용 소방 시설은 인터넷, 대형마트, 인근 소방 기구 판매점 등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주택용 소방시설로 큰 피해를 막고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태강기자 tk11633@yeongnam.com

김태강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