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경북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챗경북(Chat GB)이 행정업무 지원 서비스를 시작했다. 행사 계획서 한 장으로 보도자료 초안을 작성하고, 100장 이상의 기획보고서를 요약해 사업건의서 초안을 만드는 기능이 새롭게 추가됐다.
경북도는 행정업무에 특화된 챗경북 AI 서비스 3종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제공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추가된 기능은 보도자료 및 사업건의서 작성, 화공 특강 챗봇 서비스다.
앞서 경북도는 지난해 초 출시한 챗경북을 행정업무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본인 업무를 지원하는 AI 주무관을 직원별로 붙여준다는 개념의 업무 효율화 방안을 구상해 왔다. 전 직원 설문조사와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해 직원 수요가 높은 업무를 중심으로 서비스 안을 마련했다.
보도자료와 사업건의서 서비스의 경우 문서작성과 관련된 기초 자료만 있으면 활용 가능하다. 챗경북 화면에 '보도자료' 혹은 '사업건의서'를 클릭하고 한글파일 등을 그대로 끌어와 놓으면 초안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매주 화요일마다 경북도에서 진행되는 '화공특강'과 관련한 챗봇 서비스도 추가됐다. 화공특강 챗봇에선 경북도 공식 유튜브 '보이소 TV'가 제공하는 특강 내용을 묻고 답하는 상호소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북도는 데이터 학습을 통해 이번에 추가된 3종 서비스를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예산 관련 문서 작성 등 전문 영역에서 직원 업무를 지원하는 서비스도 곧 추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정우 경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사업건의서 등 보통 1시간 정도 걸리던 업무를 해당 서비스를 활용하면 3분 이내 가능하다"라며 "앞으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정부 건의사업으로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경북도는 행정업무에 특화된 챗경북 AI 서비스 3종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제공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추가된 기능은 보도자료 및 사업건의서 작성, 화공 특강 챗봇 서비스다.
앞서 경북도는 지난해 초 출시한 챗경북을 행정업무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본인 업무를 지원하는 AI 주무관을 직원별로 붙여준다는 개념의 업무 효율화 방안을 구상해 왔다. 전 직원 설문조사와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해 직원 수요가 높은 업무를 중심으로 서비스 안을 마련했다.
보도자료와 사업건의서 서비스의 경우 문서작성과 관련된 기초 자료만 있으면 활용 가능하다. 챗경북 화면에 '보도자료' 혹은 '사업건의서'를 클릭하고 한글파일 등을 그대로 끌어와 놓으면 초안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매주 화요일마다 경북도에서 진행되는 '화공특강'과 관련한 챗봇 서비스도 추가됐다. 화공특강 챗봇에선 경북도 공식 유튜브 '보이소 TV'가 제공하는 특강 내용을 묻고 답하는 상호소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북도는 데이터 학습을 통해 이번에 추가된 3종 서비스를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예산 관련 문서 작성 등 전문 영역에서 직원 업무를 지원하는 서비스도 곧 추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정우 경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사업건의서 등 보통 1시간 정도 걸리던 업무를 해당 서비스를 활용하면 3분 이내 가능하다"라며 "앞으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정부 건의사업으로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