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철우 경북도지사 |
대구·경북에 이어 부산·경남도 17일 행정통합에 합의하면서, 수도권 일극 체제를 겨냥한 비수도권의 초광역권 메가시티 구축이 최대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과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이날 부산시청에서 행정통합 등에 대해 논의하고, 미래 도약과 상생 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을 채택했다. 두 시·도는 행정통합과 관련해 추진 절차와 체계 마련 등 3가지 사항에 협력하기로 했다.
행정통합 추진과 관련, 부산시와 경남도는 시·도민 공감대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통합 지자체가 실질적인 권한과 재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특별법 제정, 시민 공론화 등 필요한 절차를 체계적으로 마련하기로 했다. 또 행정통합안을 오는 9월까지 내놓기로 했다.
이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추진 중인 행정통합과 맥을 같이 한다.
특히 4개 시·도는 행정통합과 관련,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을 가장 우선시 하고 있다. 또 특별법을 통해 현재의 행정체제를 과감히 바꾸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구시와 경북도가 별도 행정통합 추진단을 구성한 반면, 부산시와 경남도는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를 공동으로 발족시킨 점은 다소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구와 경북의 통합추진단이 별도 구성됐지만, 결국은 하나의 안을 도출하기 위해 합쳐질 수 밖에 없다"면서 "이번 부산·경남의 통합 추진으로 대구·경북 통합이 더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도지사는 또 "부산시장과 경남도지사를 만날 때 마다 행정통합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를 했다"면서 "부산·경남까지 통합을 추진하면 충청권과 호남권도 따라올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될 경우 광역단체 간 통합이 특별법이 아닌 일반법으로 가능하게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특히 이 도지사는 "행정통합은 누가 먼저 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고, 대한민국 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전시, 세종시, 충북도, 충남도 역시 인구 500만명 이상의 메가시티 구축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는 이르면 오는 10월쯤 출범할 것으로 전망된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