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첫 국책사업'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조성 탄력

  • 원형래
  • |
  • 입력 2024-06-20  |  수정 2024-06-19 19:28  |  발행일 2024-06-20 제10면
국무회의 '산단 조성안' 의결

각종 행정절차 신속 추진

진입도로 4차선 개설 등

관련 인프라 구축 가속도
지방 첫 국책사업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조성 탄력
울진 죽변 후정리 일원에 울진원자력 수소국가산업단지조감도.<울진군 제공>

울진군은 18일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조성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이번 국가산단 국가정책사업으로의 확정은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한 국가산단 중 지방권에서는 최초다.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가 입주 수요가 충분하고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단이라는 평가를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울진군은 국가정책사업으로 확정됨에 따라 산단 조성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먼저 산단 조성을 위한 사업비가 확정돼 산단 조성계획과 더불어 산단 개발을 위한 각종 행정절차가 진행된다.

또 산단 진입도로 4차선 개설 등 산단과 관련된 다양한 인프라 구축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울진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죽변면 후정리 일원)는 46만평 규모로 약 4천억원을 투자해 조성되며, 향후 울진군의 원전 10기에서 생산되는 무탄소 전기(2GW)를 활용해 생산되는 연간 30만톤의 수소를 산업화할 전주기 업체가 입주하게 된다.

울진군은 원자력수소 국가산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선제적인 대응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왔다.

먼저 울진산단을 중심으로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업체와 협의를 진행해 GS건설·현대엔지니어링·롯데케미칼·GS에너지·삼성E&A·SK에코플랜트·효성중공업·DL E&C·BHI·SK D&D·삼성물산이 입주 예정이다.

또 무탄소 전원인 원전 전력의 국가산단 직접 공급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 한수원 등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더불어 지난 범정부 추진지원단 회의에서 손병복 울진군수가 건의한 울진산단에서 생산되는 수소 운송 방안 마련에 대해서는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다양한 운송 방법을 검토 중이다.

이외에도 한 번에 더 많은 수소를 운송하기 위해 부피를 800분의 1로 줄여 운송할 수 있는 액체수소 도입 및 출하를 위한 해상터미널 구축, 육로 운송을 위한 죽변역에서 산단까지 철로 연결, 국도 36호선 확장, 고속도로 건설, 수소 운송용 파이프라인 건설도 장기 과제로 검토하고 있다.

손병복 울진군수는 산단 내 입주예정 기업과 함께 울진산단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해 수소특화단지 지정은 물론 첨단전략산업에 수소를 추가하고 울진 산단을 첨단전략산업 수소특화단지로 지정해 줄 것을 건의하고 있다.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기업유치 인센티브 확보, R&D 정비·확충, 인력양성, 추진체계에 대한 협력적 정비 등이 범정부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뤄지게 된다.

또 첨단산업 발전의 다양성 확보, 노동시장의 질적 구조고도화, 특성화고부터 대학원에 이르는 인력양성 체계 구축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손병복 울진군수는 "이번 국가 정책사업으로 결정됨에 따라 원자력수소 국가산단은 물론이고 울진 발전으로 향하는 길이 한층 가까워졌다"라며 "아직 많은 과정이 남은 만큼 국가산단의 본격적인 운영까지 차근차근 최선을 다하겠으니, 군민 여러분께서도 한마음으로 함께 해 주시기를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원형래기자 hrw7349@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원형래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