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2.6%로 상향 조정했다.
예상을 크게 웃돌았던 1분기 성장률을 반영한 것이지만,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기획재정부가 3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자료를 보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2.6%로 전망했다.
지난해 제시한 전망치(2.2%)보다 0.4%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이 같은 전망치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같은 것이다. 지난 5월 한국은행(2.5%) 전망치보다는 소폭 높다.
기재부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것은 우선 상반기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세를 보인 점이 감안됐다.
실제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6월)까지 9개월 연속 전년 동월보다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134억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 기록을 갈아치웠다.
정부는 올 하반기에도 수출개선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경제의 완만한 성장세와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경기 호전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다.
고금리 기조의 부작용인 물가상승세가 둔화된 측면도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2.4% 올라 3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