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제2차 경북도 행정통합 민관합동추진단' 전체회의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대구경북(TK) 행정통합 특별법에 '중앙권한의 지방 이양' 등 자치권 강화와 더 많은 재정 지원을 보장받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 |
12일 경북도청에서 '제2차 경북도 행정통합 민관합동추진단'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임성수기자 |
경북도는 12일 도청에서 열린 '제2차 경북도 행정통합 민관합동추진단' 전체회의에서 "특별법에는 한반도의 새로운 중심축이 되기 위한 전략들을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특례와 권한이 담길 것"이라고 밝혔다.
정성현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대구시와 협의를 통해 준비하고 있는 TK 행정통합 특별법안과 관련한 브리핑에서 "제주, 강원, 전북 등 특별자치도 사례와 함께 광역 지방자치단체 간 첫 통합 사례인 만큼 면밀히 검토했다"면서 "특별법안은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지방 이양 등 지방정부의 자치권 강화와 통합자치단체의 재정 인센티브 확대 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도는 경제산업, 도시교통, 산림환경, 해양수산, 문화관광, 책임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권한 이양과 특례 구성을 통해 TK 통합 발전전략을 구체화 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이 발표한 행정통합 발전 구상안에 따르면 북부권은 특별법을 통해 수자원 관리나 환경, 산림 분야의 권한과 특례가 보장된다. 낙동강 강마을 국가정원, 백두대간 산림 대전환, 안동 호반도시 프로젝트 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관심이 높은 도청신도시 발전대책으로는 국가 행정기관 및 산하 공공기관 이전 등을 중심으로 한 통합행정복합도시 조성 전략이 핵심이다. 영재·국제학교 설립, 종합병원 및 신도시 골프·파크골프장 유치 등 주민 체감형 정책도 추가 제시됐다.
동부권에는 1차 회의에서 제시됐던 신(新)영일만 구상과 APEC 국제네트워크 중심도시 등에 더해 형산강·오십천·왕피천을 아우르는 동해 3강(江) 프로젝트와 원자력발전 지역자원시설세를 인근 지역 개발에 우선 투자하는 지역자원 발전 특구가 추가로 제안됐다.
서부권에는 반도체·로봇 중심의 첨단전략산업벨트, 혁신도시 종합발전특구, 통합공항 연결 교통망과 제2의 가락시장이 될 광역농산물유통물류센터 건립 등이 검토되고 있다.
이철우 도지사는 모두 발언에서 "중앙 권한과 재정 이양 부분은 대부분 합의가 됐고 청사(대구시청·경북도청)를 어떻게 할 것인지만 협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며 "청사는 현 상태에서 바뀌면 안 되고 두 청사를 그대로 두겠다"고 말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