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저축은행중앙회 경영공시 |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올 상반기 결산 공시에서 BIS 비율이 권고 기준에 미달한 라온저축은행을 비롯해 상상인, 상상인플러스, 바로저축은행 등 4곳에 자본 조달 계획 제출을 요구했다.
금감원은 자산 1조원 이상 저축은행의 경우 BIS 비율을 8% 이상, 자산 1조원 미만은 7% 이상을 유지하도록 규정한다. 여기에 미달되면 경영개선을 위한 시정조치를 내릴 수 있다. 여기에다 +3%포인트 더해 'BIS 비율 권고기준(자산 1조원 이상 11%, 1조원 이하 10%)'을 두고 있다. BIS 비율이 이 기준보다 내려가면 자본확충 방안 등이 담긴 자본 조달 계획을 요구한다.
자산이 1조원 미만인 라온저축은행의 경우, 지난 6월 말 BIS 비율이 9.01%로 권고기준(10%)을 밑돌았다. 자산 1조원 이상인 상상인·상상인플러스·바로저축은행의 BIS 비율도 각각 10.45%, 9.72%, 10.67%로 권고 기준(11%)을 하회했다.
올 들어 저축은행들은 경기악화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기업대출과 관련한 연체율과 3개월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인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이 급증하는 추세다.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2분기 경영실적을 취합한 결과, 연체율이 10%를 넘는 곳이 무려 31곳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6곳)과 비교해 5배 이상 많다.
대구경북 저축은행의 연체율도 우려스런 수준이다. 올 2분기 실적을 공개한 지역 저축은행 9곳의 연체율은 평균 11.12%이다. 지난해 2분기(5.49%)보다 5.63%포인트 늘었다. NPL비율 평균도 9.01%에서 19.57%로 10.56%포인트나 치솟았다.
연체율이 10%를 넘긴 지역 저축은행은 라온(14.66%)을 비롯, 엠에스(14.48%)·대백(13.95%)·유니온(13.89%)·참(10.59%)·드림(10.4%) 등 모두 6곳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한 곳도 없었던 점을 감안하면 걱정스런 상황이다.
NPL비율도 크게 악화됐다. 저축은행 9곳 모두 NPL비율이 두 자릿수다. NPL비율이 20%를 넘는 저축은행은 전국에 8곳인데, 이 중 대백(24.16%)·대아(23.65%)·오성(22.2%)·라온(20.62%) 등 4곳이 지역에 몰려있다. 유니온(19.72%), 참(18.53%) 저축은행도 NPL비율이 높았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이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