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문기·백현동 의혹' 관련 허위 발언 혐의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0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공직선거법 위반 1심 결심 공판에 출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재부상하면서 여야의 대권 지형이 재편될지 주목된다. 특히 검찰이 20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징역 2년을 구형하면서 대권 구도가 요동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형이 확정되면 대선에 출마할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이번 1심 결과만으로도 대권 주자의 위상에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공직선거법 사건의 경우 100만원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의원직을 상실하고 5년간 피선거권이 제한돼 대선에 출마할 수 없다. 대법원의 최종 판결은 다음 달에 나올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대선 전까지 대법원 최종 판결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지만, 문제는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장기화 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이 대표는 오는 30일 위증교사 의혹 사건 결심 공판에 이어 대장동·백현동·위례신도시 개발비리 및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 사건과 쌍방울 대북 송금 의혹 사건 재판을 줄줄이 앞두고 있다.
따라서 국민의힘은 이재명의 사법 리스크를 부각하면서 대통령·여당 동반 하락세라는 현 국면을 타개하는 데 '올인'한 것으로 관측된다. 여권 잠룡들의 움직임도 주목된다. 한동훈 대표는 '이재명 대항마'로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굳혀 당정관계 문제, 당 세력화 한계 등을 극복하기 위해 나설 것이고, 오세훈 서울 시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사람'이란 이미지가 강한 한동훈의 약점을 부각시키며 '이재명-한동훈' 양강 구도 흔들기에 나설 전망이다.
민주당 내에서는 '이재명 1강' 구도 흔들기가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1심 결과를 기점으로 재부상한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장기화되는 상황인데다, 대선 전 대법원 유죄 확정판결이 나온다면 유력 대권주자 바통이 민주당 내 다른 주자들에게 넘어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당 내 새로운 구심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김동연 경기지사의 경우 자신은 사법 리스크가 없다는 점을 내세우면서 '비주류'가 된 친노(親노무현)·친문(親문재인)을 끌어모으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제 전문가란 자신의 장점을 살려 이 대표와의 정책 대결도 피하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4·10 총선에서 민주당 공동 선거대책위원장을 마치고 휴지기를 가진 뒤 정치 재개를 예고했던 김부겸 전 국무총리의 활동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여기에 4월 총선 당시 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비명계 전직의원들 모임인 '초일회'도 가세하면서 비명계를 중심으로 한 '이재명 흔들기'가 활발해 질 전망이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