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남일보DB. |
정부는 26일 우리 사회가 내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 노인 일자리 110만개를 제공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노인일자리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을 논의했다. 오는 2025년 초고령사회(노인인구 비중이 20% 이상) 진입에 대비해 어르신들의 경험과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양질의 노인일자리 제공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특히 후기 노년층(75세 이상) 대비 인적 역량이 높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노년층 진입으로 노인의 근로 욕구가 다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어르신의 노후 소득 보충과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일자리를 활용한 노인의 경제적, 사회적 기여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2025년에는 노인인구 10.4%에 해당하는 역대 최대 규모인 110만 개의 노인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또 베이비붐 세대 수요에 맞춘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 정부부처·공공기관 협업으로 사회서비스형·민간형 비중을 높여갈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아이돌봄 시범사업(5천개, 여가부 협업)을 실시하고, 기존 협업사업과 함께 공동육아 관련 사업(여가부 협업), 폐기물처리 관련 사업(한국환경공단 협업) 등 시범사업을 추가로 시행한다.
아울러 시장형 사업단 인프라 구축 지원사업, 신규 일자리 발굴과 현장의 수요와 만족도가 높은 일자리 조사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추진한다. 시장형 사업단의 경쟁력 강화와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시설 투자 및 15억원을 투자해 10개소의 공간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참여자의 활동 역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일자리 특성을 고려하여, 참여자의 욕구와 능력에 기반한 일자리 연계를 추진한다.
정부는 "향후에도 노인인구의 증가에 대응하여 노인인구의 10% 수준으로 노인일자리를 제공하겠다"며 "베이비붐 세대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여 사회서비스형 및 민간형 노인일자리 비중을 2027년까지 40% 이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