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을 공공지지한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 주가가 연일 급등하며 시가총액 1조달러(약 1천397조5천억원)를 돌파했다.
8일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장보다 8.19% 급등한 321.22달러에 마감했다. 이날 한때 주가는 328.71달러(10.71%↑)까지 치솟아 52주 신고가를 새로 쓰기도 했다.
종가 기준으로는 2022년 4월 25일 332.67달러 이후 2년 6개월여 만에 최고치다.
종가 기준 테슬라 시가총액은 1조311억달러, 우리 돈으로 약 1천443조원을 기록했다. 테슬라 시총이 1조달러를 넘어선 것도 2년 6개월 만에 처음이다.
주가 강세는 미국 대선이 끝나면서 두드러졌다.
6일 14.75% 급등한 테슬라 주가는 7일 2.9% 오른 데 이어 사흘째 랠리를 이어가며 트럼프 당선 확정 후 사흘 동안 28% 수직상승했다.
시총 역시 미 대선 당일인 지난 5일 기준 8천71억달러 수준이었으나 사흘 만에 기업가치가 2천억달러(약 279조6천억원)가량 불어났다.
이에 따라 시총 순위는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를 누르고 7위로 올라섰다.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구글), 메타에 이은'매그니피센트7' 위상을 회복하게 된 것.
투자자들은 트럼프 정부가 신설할 정부효율위원회에서 머스크가 핵심 역할을 맡아 테슬라의 자율주행기술 실행에 적용됐던 여러 규제를 철폐하거나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월가에서는 테슬라의 주가 상승세가 기업 펀더멘털에 비해 과도하다는 회의적 시각을 내놓기도 했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스의 애널리스트 댄 레비는 "테슬라가 가상화폐와 함께 거래되는 '오리지널 밈 주식'이라는 점을 상기시키는 것일 수 있다"며 "트럼프의 승리로 테슬라가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분명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밈 주식은 온라인 입소문을 타고 몰린 개인 투자자들에 의해 급등락하는 종목을 말한다.
블룸버그 통신 역시 현재 테슬라 주가 수준이 예상 수익(forward earnings)의 약 104배에 이른다며 "미래 수익에 대한 불명확성에도 테슬라 신봉자들을 저지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짚었다.
윤정혜기자 hye@yeongnam.com

윤정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