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상 대종사의 법체는 인로왕번을 선두로 한 운구행렬을 따라 연화대로 이운됐다. 불자들은 '나무아미타불'을 염송하며 스님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
조계종 원로의원 대궁당 종상 대종사의 영결식이 12일 오전 10시 경주 불국사 광장에서 엄수됐다. 대종사의 입적을 추모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온 스님과 불자, 자치단체장, 정치권 인사 등 1천여 명이 불국사에 모여 조문했다.
대궁당 종상 대종사는 지난 8일 불국사 정혜료에서 법납 60년, 세수 76세로 입적했다. 생전 대종사는 "미움도 싫어함도 깨끗이 씻어 버리니 헐뜯고 칭찬함이 어디에 붙겠는가 초연히 생사를 해탈하니 금까마귀 하늘 뚫고 날아가네"라는 가르침을 남기고 적멸의 세계로 떠나며 불교와 종단 발전을 위해 헌신한 인물로 기억된다.
이날 영결식은 불국사 경내에서 삼귀의례와 영결법요로 시작됐고, 종우 대종사가 헌향, 성행스님이 헌다하며 대종사의 마지막 길을 기렸다. 이어 이영숙 불국사 신도회장과 박완규 신도회 수석부회장이 꽃을 올리며 대종사의 공덕을 추모했다.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추도사에서 "대종사께서는 백두대간을 따라 남북을 잇고, 아프리카까지 자비를 전파한 시대의 큰 어른이었다"고 회고했다. 또한 선명상을 대중화해 국민에게 마음의 평안을 제공하려던 대종사의 뜻을 이어가겠다고 했다.
자광 대종사는 영결사에서 "대종사께서는 다보탑과 석가탑 복원 등 불국사의 가람 수호에 힘쓰셨으며 후학들에게 조계의 청정 가르침을 전했다"고 강조했다. 대종사의 가르침이 종단과 후학들에게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은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의 대독으로 "종상 대종사님은 국민 행복을 염원하며 자비와 상생을 실천한 이 시대의 큰 어른이었다"며 애도를 표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대종사님의 깨달음과 업적을 이어받아 도민 모두가 행복한 경북을 만들겠다"고 다짐했으며, 주낙영 경주시장은 "대종사님의 높은 뜻을 기리며 상생과 협력, 나눔과 배려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중봉 성파 대종사는 법어를 통해 "대종사께서는 생사무상의 고통을 체험하고 출가해 수행과 교화에 헌신하신 선지식이었다"라며 대종사의 마지막 법문을 대독했다. 전국교구본사주지협의회장 허운스님도 "대종사님의 가르침과 원력을 본받아 포교와 불사의 길을 실천해 나가겠다"라고 다짐했다.
불국사 원로 덕민 스님은 종상 대종사 영단에 조시를 바치며 "토함계곡에 달이 떨어지고 나뭇가지가 흔들릴 때 스님의 손짓으로 믿겠다"라고 고인을 기렸다. 동국대 이사장 돈관 스님은 "휴전선 너머 사찰을 복원하고 다문화를 보듬어 준 자비의 마음을 지닌 분이었다"고 추모하며 그 뜻을 잇겠다는 다짐을 밝혔다.
영결식은 문도대표 성행스님의 인사와 사홍서원으로 마무리됐으며, 이후 종상 대종사의 법체는 인로왕번을 선두로 한 운구행렬을 따라 연화대로 이운됐다. 불자들은 '나무아미타불'을 염송하며 종상 스님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글·사진=장성재기자 blowpaper@yeongnam.com

장성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