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언했다가 국회 의결로 계엄을 해제한 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이날 거래를 시작한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촉발한 '계엄 정국' 후폭풍이 경제계에 몰아치면서 대구·경북에서도 피해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다.
7일 대구 수출 기업 중 일부 계약 해지나 생산 중단 관련한 해외 파트너사의 문의와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탄핵 정국이 계속돼 혼란이 이어질 경우 이런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역 수출업계에 따르면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국내 불안정한 정세에 대한 외신 보도가 이어진 후 생산 중단 등 계약 잠정 보류와 같은 피해 사례가 나오고 있다.
해외 주문생산형 기계장비 및 설비 제조 관련, 대구지역 한 수출 기업의 경우 계엄 사태 이후 해외 바이어로부터 생산 중단을 요청해 현재 계약분이 잠정보류된 상태다.
또 다른 수출 기업 역시 '계약분 생산을 일시 중단해 달라'는 요구를 받는 등 해외에서 한국 내 제품 생산에 대한 의구심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불안정한 국내 정세가 국가 신뢰도를 낮추면서 수출 기업들이 불확실성의 리스크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국가 대외 신뢰도는 향후 환율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데다 내년 1월 출범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정부 역시 강력한 자국 우선주의 정책으로 관세를 비롯한 각종 정책에 대변화를 예고한 것도 수출 기업으로서는 부담스러운 요소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지금 같은 혼란이 수출 기업에게는 어떤 식으로는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불안정한 국내 정세는 대외 신뢰도를 낮출 수 있어 혼란이 지속될 경우 피해는 커질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업계 모니터링을 통해 관계 기관에 기업의 상황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협의체 등이 필요하고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무역협회 측은 '우리 기업과 해외 기업은 밀접한 상호상생 관계라 계약해지와 같은 극단적 상황이 계속되진 않을 것'이라며 내다보면서 계약 유지 여부에 관한 문의 차원 질의나 관심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정혜기자 hye@yeongnam.com

윤정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