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교육청 전경 |
내년 3월 새 학기부터 대구지역 일부 학년에 도입될 대구시교육청의 AI디지털교과서 사업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AI교과서를 기존 '교과서' 지위가 아닌 '교육 자료'로 격하하는 법안이 최근 국회 교육위원회에 이어 지난 17일 법제사법위원회도 통과해서다.
일부 지역 교육계는 교육자료가 되면 학교에 일괄 강제도입이 아닌 '선택 사항'이 돼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럴 경우 이미 교과서 개발을 완료한 교육업체들은 큰 금전적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대구시교육청은 내년 도입 준비와 예산 등을 대부분 확보해두고 강력한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 법안이 국회 본회의 통과시 후폭풍이 적지않을 전망이다.
1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대구지역 AI교과서 관련 예산은 115억원(특별교부금)이다. 시교육청은 이미 올해 관련 인력 1만여명 연수와 시범학교 (65개교) 운영, 인프라 구축 등을 완료했다. AI교과서는 내년 3월부터 서책형 교과서와 함께 교실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대상은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이다. 교과는 수학·영어·정보에 먼저 적용된다.
하지만 이같은 시교육청의 도입 의지와 달리, 지역 일부 교육계는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전교조 대구지부는 AI교과서 도입으로 △지방교육재정 축소 상황에서 막대한 예산 소요 △디지털 기기 과의존 △학생 맞춤형이 아닌 'AI디지털교과서 맞춤형 문제풀이'에 따른 수업방식 획일화 △개인정보보호 및 디지털 격차 문제를 우려한다.
전교조 측은 "AI교과서는 문제집 방식으로 운영돼 도입될 경우 논란이 많아질 것이다"며 "교육자료로 도입돼도 학교가 자체 심의를 거쳐 개별적으로 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돼 결국 수요가 줄게 된다. 교재개발 교육업체들이 적잖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했다.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비례)도 지난 18일 AI교과서 도입에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AI교과서 관련 학부모·교원 인식 설문조사'결과를 그 근거로 삼았다.참여 학부모 7만4천243명 중 85.0%가 도입을 '반대'했다. 그 중 '매우 반대'가 75.2%였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아직 교육부에서 별다른 지침이 없고 법안에 대한 결론이 나지 않았다. 시교육청 내부적으로도 논의를 한 바 없다"면서 "대구지역은 '교육자료'가 돼도 모든 학교에 도입한다는 기존 계획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종윤기자 bell08@yeongnam.com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