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인천 상상플랫폼에서 열린 'BYD 승용 브랜드 런칭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조인철(왼쪽) BYD 코리아 승용부문 대표 등 관계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 BYD(비야디)가 16일 한국 승용차 시장에 첫발을 내딛었다. 2016년 국내 상용차 시장에 진출한 지 9년 만이자, 지난해 11월 승용차 브랜드 출시를 공식화한 지 두 달 만이다.
BYD는 전기차를 비롯해 2차전지, 태양광 패널 등을 생산하는 중국 기업으로 지난해 글로벌시장에서 순수 전기차 176만대를 판매해 업계 1위인 테슬라(179만대)를 위협했다.
하이브리드차를 포함해 BYD의 전체 판매 대수는 자체 목표인 360만대를 훨씬 웃도는 430만대였다. BYD는 중국 정부의 파격적인 전기차 육성 정책를 등에 업고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했다는 평가다. BYD는 2016년 전기 지게차·버스·트럭 등 국내 상용차 시장에 먼저 도전장을 내밀었다. BYD는 꾸준히 성장해 작년 상용차 시장에서 전년 대비 59.2% 증가한 1천38대를 판매하며 수입 상용차 브랜드 2위에 오르기도 했다.
BYD코리아는 지난해 11월 공식적으로 국내 승용차 브랜드 출시를 발표했다. 이후 삼천리EV를 비롯한 6개 사와 딜러 계약을 맺고 우리금융캐피탈과 금융 업무를 제휴하는 등 승용차 시장 진출을 준비해왔다.
BYD가 한국 시장에 얼마나 녹아들지는 전망이 엇갈린다. 우선, 현대차그룹을 비롯한 국산 브랜드의 점유율(83.8%)이 높은 한국시장 특성상 BYD가 별다른 두각을 드러내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전기차 시장의 경우도 지난해 12만2천775대가 신규 등록된 가운데 현대차그룹이 54.6%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테슬라가 24.2%였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BYD의 영향력을 더 이상 무시하긴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내수 침체 장기화로 인해 소비자 구매력이 떨어진 상황에서 가성비 브랜드의 파급력은 배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BYD의 한국 시장 첫 모델인 '아토3'는 일반 트림이 3천100만원대, 상위 트림이 3천300만원대로 책정됐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