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영덕 송이와 산림조합

  • 남두백
  • |
  • 입력 2025-02-10  |  수정 2025-02-10 07:02  |  발행일 2025-02-10 제22면

[취재수첩] 영덕 송이와 산림조합
남두백기자〈사회3팀〉

영덕군은 매년 수십 톤의 자연산 송이를 생산하면서 국내 송이 생산량의 약 20%를 차지할 만큼 전국적 명성을 쌓아왔다.

송이는 영덕 지역 경제와 주민들의 삶에 깊이 뿌리내린 소중한 자원이지만, 최근 영덕군 산림조합 안팎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보면 갈등을 넘어 위기감마저 돈다. 지난해 영덕군 산림조합은 전임 조합장의 갑작스러운 사퇴와 후임 조합장의 직무 정지 그리고 산림청의 대규모 감사 등 상당히 혼란스러웠다. 일부 임원과 대의원들은 전임 조합장에 대한 비위 의혹 제기와 경찰 고발, 그리고 조합사업에 참여했던 후임 조합장에 대한 불신 등 내부 갈등은 해를 넘어 계속되고 있다. 지난 수년 간 조합에서 시행한 연간 60~80억 원 규모의 각종 산림토목사업에 대한 여러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해당 의혹에는 사업을 총괄했던 조합장과 몇몇 간부급 직원들이 중심에 있는 모양새다. 여기에다 산림청은 지난 2년 간 영덕군으로부터 위탁받아 조합에서 시행한 100억 원 규모의 숲 가꾸기 사업을 들여다보고 있다. 알려진 바로는 조합장과 4~5명의 직원이 모든 사업을 담당했다고 하니 많은 예산을 집행하는 산림조합 운영 체계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지금까지 제기된 영덕군 산림조합의 문제는 전국 산림조합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난 비리 사례와 매우 유사하다. 일부 조합에서는 조합장이 자금을 횡령하거나 보조금을 부정하게 집행한 사례가 보고됐다. 이는 조합원과 지역 주민의 신뢰를 저버릴 뿐만 아니라 산림 자원의 지속 가능성까지 위협했다. 영덕군은 매년 송이 철이 되면 전국 각지에서 상인과 방문객이 몰려들 뿐만 아니라 송이 생산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중심 역할을 했다. 특히 송이의 생장은 청정한 산림 생태계에 의존하기에 산림조합 운영과 산림사업에 대한 불안정과 관리 실패는 송이 생산량 감소와 절대 무관하지 않다. 현재 영덕군은 소나무 재선충병 감염목 제거와 방제 작업 등에 온 힘을 쏟고 있지만 최근 산림조합의 상황을 볼 때 효과적 대응이 우려된다. 영덕군 산림조합에서 발생한 각종 비리 논란은 단순한 조합 내부 문제를 넘어 지역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분명히 있다. 영덕 산림조합은 2천 300여 명의 조합원 이익은 물론 매년 수십억 원이 넘는 예산을 시행하는 기관이기에 투명성 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경찰과 산림청은 조사와 감사 결과를 바탕으로 비리가 있다면 원인을 명확히 밝히고 책임을 묻는 단호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남두백기자〈사회3팀〉

기자 이미지

남두백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