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동오〈달서아트센터 문화기획팀장〉 |
공연예술은 지역 문화의 정체성을 반영하며, 지역 경제와 관광을 활성화하는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많은 지역의 공연예술 콘텐츠는 수도권에 비해 인적·물적 지원의 한계, 지역민의 관심 부족, 관객층 확보 등 다양한 이유로 지속적인 운영을 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문화 콘텐츠 개발은 미래산업과 정주 여건의 필수 요소로 지역의 생존과 직결되기에 지자체에서 다양한 시도를 경주할 수밖에 없다. 그중에서도 지역 공연예술은 창작의 다양성과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지만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관객 기반이 수도권보다 협소하여 티켓 판매와 수익 창출이 어렵다. 둘째, 공연을 지속하기 위한 재정적 지원이 불안정하며, 대형 제작사와의 경쟁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다. 셋째, 지역 예술인들이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지속되면서 인재 유출의 문제와 더불어 스타급 출연진을 구축하기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성공할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도 많이 있다. 전주세계소리축제, 밀양여름공연축제, 강릉단오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각각 판소리, 연극, 무형문화유산이란 지역 콘텐츠로 시작하였지만 현대적이고 실험적인 퍼포먼스와 해외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전통과 현대, 동서양의 조화를 이룰 수 있어서 발전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필자가 근무하는 달서아트센터에서 제작한 뮤지컬 월곡은 또 하나의 사례이다. 위에서 제시한 여러 문제점을 비켜갈 수 없지만, 지자체의 꾸준한 지원에 힘입어 2020년 리딩극을 시작으로 2021년 초연, 2022년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특별초청공연 이후 전문가와 시민들에게 호평을 받으며 김천·안동에서 투어 공연을 하는 등 꾸준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지역 콘텐츠 공연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색을 살리면서도 보편적인 감동을 줄 수 있는 이야기와 높은 수준의 제작 역량, 이를 발표할 수 있는 플랫폼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예로 빌리 엘리어트를 들 수 있다. 영국 북부 탄광촌 출신 소년이 발레리노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뮤지컬로, 영국의 사회적·경제적 배경을 반영하면서도 감동적인 스토리를 통해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공연으로 지역 산업과 공동체의 삶을 예술로 승화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공연의 성공 비결은 지역의 역사와 사회적 이야기를 공연으로 풀어낸 점과 창작 뮤지컬이 성장할 수 있는 실험적 무대인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이란 플랫폼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사례와 같이 대구의 대표 공연예술 플랫폼인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대구국제오페라축제가 지역 예술가와 창작자들에게 지역 콘텐츠로 창작과 실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했으면 한다. 또한 지역 자치단체와 지역 사회의 지속적인 협력과 관심으로 지역성과 글로벌 감각을 조화롭게 결합해 지역 공연예술의 미래와 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모멘텀을 밝혔으면 한다.조동오〈달서아트센터 문화기획팀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