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미국 관세 대응책 마련 착수

  • 박용기
  • |
  • 입력 2025-02-12  |  수정 2025-02-13 08:32  |  발행일 2025-02-13 제3면
이달 중 '구미경제 동향분석센터' 구축 및 구미경제혁신포럼 운영

지역 경제계 미-중 갈등으로 인한 중국으로의 수출 타격 더 우려
구미시, 미국 관세 대응책 마련 착수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구미시 제공>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반도체와 자동차까지 이를 확대할 계획을 밝히면서 첨단반도체 소재부품 특화단지로 지정된 구미시가 대책 마련에 나선다.

구미 경제계는 미국의 고관세 부과가 지역 반도체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중 갈등으로 인한 중국으로의 수출에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고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현재 구미에는 SK실트론과 LG이노텍, 원익큐엔씨 등 300여개 반도체 관련 기업이 소재하고 있다. 구미세관이 발표한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 한 총수출액 중 중국 수출 비중은 39.2%로 유럽(13.6%), 베트남(11.6%), 미국(10.1%)을 더한 것보다 높다. 전체 수출액 중 67.1%는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반도체업계는 "AI(인공지능) 시대에 접어들면서 반도체 수요는 점점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나온 미국의 고관세 정책은 지역 반도체 기업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도 "미국 역시 자국에서의 반도체 산업을 확장해 가는 만큼,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산업이 발달한 우리나라를 의식할 수밖에 없어 좋은 결과도 조심스럽게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이현권 경북·구미 반도체 특화단지 추진단장은 "제조업 대부분에 반도체가 필요하고 제조업의 가장 큰 시장이 중국"이라며 "국내 대중(對中) 반도체 시장이 미국 간섭으로 위축될 우려가 있는 만큼, 구미 기업들이 수요처 및 수출 축소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구미시는 대책마련에 나섰다. 시는 우선 구미경제 동향분석센터(이하 센터)와 구미경제혁신포럼(이하 포럼)을 통해 대응 체계 방안 마련에 나섰다. 센터는 트 행정부의 정책변화와 시장 동향 모니터링을 위한 신속한 정보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기업 대응 전략을 공유하는 등 '원스톱 에이전트'를 통한 신속한 기업 지원에 나선다. 포럼은 트럼프 2기 정부에 대비한 지역경제 특화전략 수립과 투자유치 등 경제기반 조성, 미래 구미경제 생태계 마련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다.

시는 직·간접 영향을 받는 수출 기업을 위한 맞춤형 기업지원 사업도 추진한다. 수출 보험료 지원 예산을 확대하고 중소기업 토털 솔루션 사업을 수출 중점·마케팅 주도 등으로 신설·지원하기로 했다. 또 2차전지, 반도체 분야 수출 기업에 기존 운전자금 이차보전과 중복 지원과 함께 대미·대중 수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새로운 해외시장 개척을 위 사절단 파견 등도 검토중이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미국의 통상정책 변화에 대한 지역 기업의 어려움을 밀착 지원하기 위한 신속한 대응책 마련으로 수출 기업 경영환경 개선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용기기자 ygpark@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용기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