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동성로 탄핵집회 장기화… 상인들 “매출 감소와 소음 피해 심각”

  • 박지현
  • |
  • 입력 2025-02-12  |  수정 2025-02-13 08:43  |  발행일 2025-02-13 제9면
소규모 집회까지 이어져 매출 30% 이상 감소

주최측, “법정 기준 준수하며 조율해 나갈 것”
대구 동성로 탄핵집회 장기화… 상인들 “매출 감소와 소음 피해 심각”
10일 대구 동성로 옛 대구백화점 앞 집회 반대 현수막이 걸려있다. 박지현기자 lozpjh@yeongnam.com

대구지역 최대 도심 상권인 동성로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가 두 달째 이어지자 상인들 불만이 커지고 있다. 계속된 소음과 통행 제한 탓에 매출이 쪼그라들고 있다는 것이다. 상인들은 집회 방식 조정을 요구하지만, 뾰족한 해결책은 없는 상태다.

지난 10일 동성로 옛 대구백화점 앞 광장에 '우리도 장사 좀 하자! 생계 위협하는 집회 반대!'라는 현수막이 내걸렸다. 두 달째 이어진 집회를 견뎌온 동성로상점가상인회는 결국 행동에 나섰다.

12일 대구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후 동성로에서 30건 이상 집회가 열렸다. 특히 지난해 12월 14일 탄핵안 의결 후에는 매주 금·토요일마다 400명 이상이 모였다.

이준호 동성로상점가상인회장은 "중요한 사안인 것을 이해하지만, 최근엔 개인 유튜버들의 소규모 집회까지 매일 열리고 있다"며 "손님 발길이 끊기고, 일부 상인들은 생계꺼자 위협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연말과 연초는 대목이지만, 올해는 매출이 전년 대비 30% 가까이 감소했다고 상인들은 주장했다.

특히 집회장 인근 상인들의 피해는 더 극심했다. 한 의류 매장 직원은 "집회가 한창일 때는 손님이 아예 가게에 들어오지 못할 정도"라며 "최근에서야 경찰이 바리케이드를 설치해 일부 통제가 이뤄졌다"고 했다. 집회 현장 바로 옆 패스트푸드점 측도 "집회 인파로 보행자 전용도로가 막혀 배달 오토바이 통행이 어려워 배달 영업을 중단해야 했다"고 했다.

경찰은 집회를 강제로 막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중부경찰서 측은 "집회는 신고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법적 요건을 충족하면 원칙적으로 제한할 수 없다"며 "다만, 소음이 법적 기준치를 초과하면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다행히 집회 주최 측도 상인들 피해를 인지하고 일부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윤석열퇴진대구시국회의 측은 "집회를 이어온 장소라 다른 곳으로 옮기긴 쉽지 않다"면서도 "발언 시간을 1시간으로 줄이고, 나머지는 행진으로 진행해 소음을 최소화하겠다"고 했다. 대구경북자유우파시민단체연합 측도 "상인들과 소통하며 균형을 맞추는 방향으로 진행하겠다"고 했다.

박지현기자 lozpj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지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