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3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한 '지역 의료현안 간담회' 참석자들이 지역 의료 공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책을 살펴보고 있다. 경북도 제공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의과대학 정원을 늘리는 것보다 '의료대란' 조기 수습이 더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도지사는 지난 13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열린 지역 의료 현안 해결을 위한 간담회에 참석했다.
대구·경북 의과대학 총장·부총장, 경북도의사회장 등이 함께한 간담회에선 지역 의료 공백을 해소하고, 의료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이날 이 도지사는 "의료대란이 지속되면 지방 의료는 더욱 위태로워질 것이며, 지방 의료 붕괴를 막기 위해 정부의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2026년 의대 정원 증원은 원점에서 정부, 의료계, 전공의 학생 대표들과 협의해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경북도는 국립 의대 설립을 포함한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추진해 지역 의료체계를 강화하고, 도민들이 안정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른 참석자들도 조속한 의료 문제 해결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대학 차원에서 교육과정 개선과 의료 인재 양성을 위해 적극 협력할 것을 약속하기도 했다.
이 도지사는 간담회 이후 자신의 SNS를 통해서 의료대란 수습의 중요성을 재차 피력했다. 그는 "경북도 입장에선 의사수가 절대 부족하기때문에 지역 출신 의대생을 선발하는 제도로 증원이 절실하다"면서 "만약 수습 방안이 수립되지 않는다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기존 의사들이 빠져 나갈 우려가 심각하므로 증원 문제 보다 의료대란 조기 수습이 오히려 더 급한 실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당장 금년도 공보의 충원이 예년의 30% 수준으로 예상 되는데다 이미 기존의사들의 유출도 감지되고 있는데 지금부터는 더욱 심각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따라서 정부에선 하루빨리 의료사태를 수습해 국가적 난제도 해결하고 특히 지방의료 공백상태를 막아 달라"고 요청했다.
경북은 전국에서 손꼽히는 의료 취약 지역이다. 인구 1천명 당 의사 수가 1.4명으로 전국 평균(2.1명)에 한참 못미친다. 특히 필수의료 인프라와 응급의료·외과 등 전문의 부족으로 중증 환자의 신속한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박종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